학술논문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이용수 44
- 영문명
- Exploring value and meaning of story sharing in th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민영 한유진 권혜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174~202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아ㆍ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교실 속에서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간의 이야기나누기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관찰함으로써, 그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이자 학급 담임 교사가 유아의 이야기나누기 모습을 관찰하고, 상황에 따라 이야기나누기를 함께하는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관찰대상은 H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 17명이었으며, 관찰상황은 유치원 교실에서 이야기나누기가 발견된 놀이, 활동, 일상생활을 포함한 하루일과 시간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실 속에서 발견된 이야기나누기는 대화의 구성원을 서로 이어주는연결고리로서의 가치를 가졌다. 그 의미를 들여다보면, 이야기나누기에 참여하는 유아가 화자(話者)로서의 ‘나’를 드러낼 수 있었고, 청자(聽者)로서 ‘너’를 기억할 수 있었으며, ‘우리’로서 구성원이 함께하는 세상을 공유할 수 있었다. 둘째, 유아가 교실에서 다른 사람과 함께 나누는 이야기는 평범하고 자연스럽게 모든 일과 중에서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는 놀이와 활동과 일상생활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유아는 이야기나누기를 통해 놀이와 활동의 경계를 허무는 제안을 했고, 놀이와 활동의 여운을 표출했으며, 일상과 일상을 이어가는 연장선의 의미를 실현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은 가치를 지닌유아의 이야기나누기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의 적절한 지도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and meaning of children by observing how story sharing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between children and children in the classroom where childㆍplay-based curriculum is being operated. For this purpose, a researcher and class teacher observed the child’s story sharing and conducted participatory observation by sharing stories togeth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subjects of observation were 17 5-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 and the observation situation was the daily routine including play, activities, and daily life in which story sharing was found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ory sharing found in kindergarten classrooms had value as a link that connected members of the conversation to each other. Looking at its meaning, we can see that children participating in story sharing were able to reveal ‘I’ as a speaker, remember ‘you’ as a listener, and share the world with members as "we." Second, the story sharing that children share with other people in the classroom was a normal and natural occurrence in all daily routines. It had value as a link between play, activities, and daily life. Through the story sharing, the child suggested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play and activity, and expressed the lingering feelings of play and activity, and realized the meaning of an extension that connects daily life. It is necessary to find appropriate guidance measures in the field so that children's story sharing can be activated, which has the same value as the above research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