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7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on parents' digital media guidance methods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연승 강소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432~449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를 먼저 접하는 시기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과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대한 관계 및 영향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 242명이며, 2023년 3월 6일부터 4월 7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에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양육행동과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의 상관관계와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의 하위요인인 통제적 미디어 지도방식의 감독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양육행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통제적 미디어 지도방식에는 한계설정, 합리적 지도, 애정성 순으로 정적 영향을, 반응성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온정적 미디어 지도방식에는 한계설정, 애정성, 합리적 지도 순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과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부모가 유아기 자녀에 대한 적절한 한계설정, 합리적 지도, 애정성의 양육행동을 보였을 때, 올바른 통제적 미디어 지도방식과 온정적 미디어지도방식이 이루어질 것이라 예측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on digital media guidance methods among parents of young children who are first exposed to digital medi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parents' digital media guidance method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of digital media guidance methods, except for the supervisory aspect of controlling media guidance methods. However, in the case of the sub-factor rules of the controlling media guidance method, a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with the sub-factor responsiveness of parenting behaviors. Second, when examining the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behaviors on digital media guidance methods, boundary setting, rational guidance, and affection in that ord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ontrolling media guidance methods, while responsiven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affectionate media guidance methods, boundary setting, affection, and rational guidance in that order had a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nd digital media guidance methods. It was predicted that when parents show appropriate boundary setting, rational guidance,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for young children, correct controlling and affectionate media guidance methods will be implem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