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이용수 42
- 영문명
- Understanding the lives of infant teachers living with parents who have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infant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허미애 김미리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126~149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가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만남에서 경험한 갈등과 어려움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직할 당시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였던 영아반 담임교사 9명을 목적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9회의 반구조적 심층면담을 한 다음, 수집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교사는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만남을 통해 ‘불길한 예감’,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의 두 얼굴’, ‘의도적으로 가장한 과잉보호 양육행동’, ‘의심과 불신의 관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는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의 만남에서 발생한 갈등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현실과 타협하며 억지로 참기, 경청하기, 공감하기, 완벽주의를 지향하기, 혼자서 소리 없이 되뇌기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교사와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 간 관계 개선 및 의사소통, 상호 존중 및 상호 지원 보육문화 조성에 조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flict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fant teachers when interacting with parents who engage i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and to explore their effort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paper employs a purposive sampling method focusing on nine infant class teachers who experienced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during their employment at a daycare center. In this research, a total of nine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infant teachers experience a range of emotions and perceptions when interacting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These include a foreboding premonition, two face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deliberately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relationship of doubt and mistrust.
Second, infant teachers in their encounters with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have been found to employ various strategies to overcome conflict situations. These strategies include reluctantly compromising with reality and forcefully enduring, active listening, showing empathy, aspiring towards perfectionism, and talking to oneself sil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ticipated to assist in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parents, enhancing communication, and fostering a childcare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