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이용수 56
- 영문명
- Exploring the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outdoor playgrounds with young children's invol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강지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332~358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가 자신의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를 재구성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 만 5세, 18명의 유아들이 실외놀이터 재구조화 과정에 참여하였다. 실외놀이터 소개하기, 사진 찍기, 사진 면담, 그림 그리기, 구조물 만들기, 모형지도 만들기와 같은 다양한 참여적, 시각적인 방법과 면담, 참여관찰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자신의 관점에서 실외놀이터 공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며 연구 아젠다를 만들어 내는 공동연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둘째, 유아는 수집한 자료를 통해 실외놀이터에서의 경험을 재방문하며 사적인 내러티브를 통한 성찰의 기회를 가졌으며 실외놀이터 사용상의 문제 공론화를 통한 해결책을 구성해 내었다.
셋째, 유아가 제안한 ‘철봉 그물망’, ‘쉼 공간을 위한 벤치’, ‘역할놀이 집 앞 식탁’ 설치라는 아이디어가 실현되는 경험을 통해 자신이 실외놀이터 공간의 주인임을 경험하였다. 유아가 실외놀이터 재구조화 과정에 참여하는 장소 경험은 유아로 하여금 자신이 H반 공동체 일원임을 알게 하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실외놀이터라는 장소에 대한 애착을 갖도록 하였다. 이러한 ‘참여’의 경험은 이후 유아가 스스로 자신의 삶을 결정할 수 있는 사유의 범위를 넓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otheir outdoor play area in thei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o achieve this, 18 children from a 5-year-old clas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outdoor play area. Various participatory and visual methods, such as introducing the outdoor playground, taking photos, conducting photo interviews, drawings pictures, creating structures, and making model maps, were emplo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collected and interpreted data about the outdoor play area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played a role as co-researchers in creating research agendas. Secondly, the children had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 their personal 'stories' from their experiences in the outdoor play area and addressed issues within the outdoor play area, constructing solutions on their own.
Third, through the experience of realizing their ideas such as 'horizontal bar nets,' 'benches for relaxation spaces,' and 'front porch table for role-playing houses' in the outdoor play area, the children experienced themselves as the owners of the outdoor play area.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restructuring of the outdoor play area allowed the children to develop a sense of belonging and attachment to the outdoor play area as a 'meaningful' place filled with their stories. Such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are believed to help expand the scope of children's reasoning abilities in deciding their own liv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