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54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kill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오채선 나회금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4호, 203~2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둥성 린이시 공립유치원의 유아 218명과 아버지 218명, 유치원 교사 11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이 연구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상관 분석,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버지의 양육 행동,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 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유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 역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생활에서 많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부모나 교육자들은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아이들의 사회적 능력과 자기조절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이해하고, 그에 따라 양육 방식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을 강조하고, 가정 내의 부모 역할을 더욱 고려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fathers'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kills in this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from 218 young children and 218 fathers at a public kindergarten in Linyi City, Shandong Province, as well as 11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employ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three-step approach of Baron & Kenny (1986), with the Sobel test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kills,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skil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confirmed.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al-life scenarios. Parents and educators can understand how fathers' parenting behaviors may influenc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elf-regulation skills, and adjust their parenting methods accordingly. Additionally, this research can emphasize the role of fathers and help to give more consideration to parental roles within the fami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린이’와 ‘아동기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어린이를/와 사유하는 교사를 향하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창의인성교육의 현재에 대한 전문가 인식 연구 -FGI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의 방과후 과정 운영 경험 탐구
- 공립유치원 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석과 실천 경험 탐색
- ‘과보호 양육행동 학부모’와 함께 살아가는 영아교사의 삶 이야기
- 교사의 놀이성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실 속에서 나타난 이야기나누기의 가치와 의미 탐색
- 아버지의 양육 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 영아의 생태친화적 오감놀이에 대한 의미 탐색
-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
- 영유아권리존중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중국 유학생 아버지가 경험하는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보람
- 유아가 참여한 실외놀이터 재구성 과정에서의 경험 탐색
- 교사-학부모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한계 -유아교사의 교사정체성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협력과 교사효능감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행동이 디지털 미디어 지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후변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인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