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이용수 60
- 영문명
- Development of Inventory of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송홍준 이병관 김은희 표진호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263~2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중학생을 위한 학습정보 처리과정의 정확한 개념을 세우고, 하위요소를 구성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성을 확보를 하는 것이다. 척도 구성요소 구인 및 정의 구성을 위해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였으며, 척도 문항 확보를 위해 문항개발 위원회의 도움을 받았다. 타당한 척도문항을 확보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통한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타당도의 선정기준을 충족한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학습정보 처리과정의 정의는 대상을 언어로 지각, 인식하여 긍정적 정서를 통해 공감, 반응함으로써 문제를 처리하는 학습단계이고, 문항은 입력기능에서 28개, 정서기능에서 18개, 인지기능에서 19개 총 65개 문항을 개발하였다. 최종 구성된 척도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으며 절대적 적합도 지수와 증분적 적합도 지수의 선전기준을 모두 통과하였다. 척도의 준거 예측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같은 측정개념을 위해 제작된 LMI(학습처리능력) 척도와 적률상관분석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로써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초등학생, 중학생 대상 학습정보처리과정 척도는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를 모두 충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부 중등부 학생이 학습정도 처리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어 학습부진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ccurate concept of the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 sub-elements, develop measurement tools, and secure the validity of the scale. Expert consult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define scale components, and the committee of item development helped to secure scale items. In order to secure valid scale questions, cont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were conduct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item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for validity were finally selected. The definition of the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is a learning stage in which problems are processed by perceiving and recognizing objects in language, empathizing and responding through positive emotions, and the questions are 28 in the input function, 18 in the emotional function, and 19 in the cognitive function. A total of 65 items were develop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goodness of fit of the finally constructed scale model, and both the absolute goodness of fit index and the incremental goodness of fit index passed the propaganda criteria. In order to verify the criterion prediction degree of the scale, the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with the LMI (Learning Processing Ability) scale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analysis, which were designed for the same measurement concep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scal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satisfied all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ill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leads to poor learning due to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ir learning level.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