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이용수 160
- 영문명
- The Distance between Disciplines and Departments in Agricultural Colleges: Focusing on the Field of Employment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형주 김정태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61~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학계열 대학들이 농학의 정체성 유지를 위한 통섭과 학제 간의 협력 연구분야를 발굴한다는 측면에서 학과 간 융복합 가능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학과 간 협력의 가능성을 취업분야의 공유정도로 설정하고 농학계열 학과 간, 학문 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사)전국농학계대학장협의회(ADACU)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EPIS)이 전국 농학계열 대학을 대상으로 취업률을 조사한 2014년 자료이다. 본 연구는 해당 자료에서 선별과정을 거쳐 전국 81개 학과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Ward 군집분석을 이용하였고, 최적 군집수 선택은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농업환경생태 ‧ 농수축산물 위생 및 품질관리 ‧ 식품영향과학 간, 농업기계학 ‧ 농업토목학 ‧ 조경학 간 취업분야 관계에서 직접 또는 간접 분야별로 비교적 빠르게 군집을 형성하고 있고 이 외에도 학문별 취업처를 공유하는 인접 학문 분야가 다수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분야별 융합연구 가능성이 있는 세부 영역을 설정해 볼 수 있었으나, 그 정도는 농학계열 대학에서 벗어나 다른 단과대학으로 분리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품과학과 농업기계 분야는 다른 학과들에 비해 공유되는 취업부문 수준이 낮아 취업과 연계된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 농산업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는 전문적, 기술적 영역에 대해 일정부분 공통된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인접 학과 및 학문 간에는 통합과 조정, 융복합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농학계열 대학은 변화되어가는 사회 및 경제, 산업 등의 환경에 대한 명확한 현실 판단과 예측, 선제적 대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학계는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논의를 통해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departments in terms of consilience for maintaining the identit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discovering cooperative research areas between disciplines at agricultural universities. Accordingly,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was set as the degree of sharing in the field of employment, and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disciplines in agriculture colleges.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the data of the National Association Deans of Agricultural College and University and the EPIS(Korea Agency of Educ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Service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urveying the employment rate of agricultural universities nationwide in 2014. After the data selection process, 81 departments from Agricultural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used to analyze. Ward cluster analysis was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and Monte Carlo simulation was used to select the optimal number of clust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lusters are formed relatively quickly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ricultural environment ecology, hygiene and quality control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food impact science, and agricultural machinery,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and landscap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academic fields. When looking through this, although it was possible to set up detailed areas with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 joint curriculum and convergence research by field,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was not at the level of being separated into other colleges away from agricultural universities. However, compared to other departments, the food science and agricultural machinery fields have a low level of shared employment, so it seems that there will be difficulties in operating joint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employment. Therefore, basic departments and the elderly, who have a certain partially cultivated direction for the professional and consequently required by the current agricultural industry, need integration, adjustment, and military complex first. To this end, agricultural colleges will need to make efforts to make clear reality judgments, predictions, and preemptive responses to the changing social, economic, and industrial environments, and the academic world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m through various discussions, including research. something to do.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