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이용수 60
- 영문명
- The SNS Communication Experience of a Beginning Teacher to feel Sympathy with Parents: Case Stud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류민정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101~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의 원활한 소통과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을 위해 SNS(밴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한 초임 교사의 경험과 과정을 이해하고, 그 속에 담겨있는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질적 연구 방법의 사례 연구로 심층면담 및 SNS(밴드) 내용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활용 전 C교사의 교육관, 가치관 및 학부모와의 소통 중요성 등에 대한 교사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둘째 SNS(밴드)를 통한 학부모와의 소통 과정과 구체적인 경험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부모와의 소통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학부모의 마음 알아가기, 나(교사)의 든든한 지원자는 바로 학부모, 아이와 부모의 끈끈함(관계) 만들어주기, 좀 더 나은 교사 되어가기)를 탐색할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교사와 학부모의 소통을 돕는 유용한 도구로서 SNS(밴드)의 가능성을 이해하고, 소통의 과정에서 발견되는 교사의 다양한 경험적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a beginn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for communicating process with parents in SNS(Naver Band). A case stud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Data source contained In-depth interview and the contents of SNS (Naver Band) which a beginning teacher used. The stories and meanings of his experience in SNS were described in detail. First, we understood his education view and his thought about impotence and value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fore using SNS. Second, we could se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SNS and detailed cases of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parents in SNS. Last, we found various meanings for the communication process with parents in SNS; understanding parents’ mind, parents would be supports for teacher, making tighten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being more developed teach in the futur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 we tried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SNS(band) as a useful instrument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eacher, and share teacher’s empirical information for communicating with parent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