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이용수 595
- 영문명
- A Study on Exploring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Borderline Intelligence Students Based on the Metaverse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용훈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283~3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메타버스공간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특성과 학업실패 요인을 파악하였다. 지적장애와 경계를 이루는 지능수준으로 인지 및 이해도가 낮은 이들에게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은 물리적 한계를 넘어서 현실에서 가능하지 못한 활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학습지원을 구체화하기 위해 메타버스의 현실체감 기술을 이용하여 경계선지능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의 보안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경계선지능 학습자에게 현실적인 학습지원을 시도해 볼 수 있는 메타버스 교육 환경을 제시하였으나 정량적 평가가 되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는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학습 환경 및 인지기능의 세분화를 통한 학습전략과 콘텐츠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tilization of metaverse space for borderline intelligence learners.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borderline intelligence learners and the factors of academic failure were identified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For those with low levels of cognition and understanding at the level of intelligence that borders on intellectual disability,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can enable activities that are not possible in reality beyond physical limi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order to materialize learning support for borderline intelligence learners, the possibility of security of functions required by borderline intelligence students was presented by using the metaverse's reality experience technology. Although a metaverse education environment in which borderline intelligence learners can try realistic learning support was presented, it was not evaluated quantitatively. Follow-up research requires research on learning strategies and content programs through the segmenta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cognitive functions of borderline intelligence learners.
목차
I. 서 론
Ⅱ. 경계선지능 학습자의 특성과 메타버스 플랫폼 특성
Ⅲ. 교육부문의 메타버스 활용사례
Ⅳ. 메타버스에서 경계선지능 학생의 교육 활용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