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7
- 영문명
- An Effect of Academic Challenges, Learning with Peers, and Experience with Professor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Programs on Academic Outcome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송윤숙 박지연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성과관리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라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의 차이가 있는지,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의 평균은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성별과 학년을 비교한 결과 성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학년이 높을수록 교우와 학습, 학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은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안으로 학년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선후배 학생 간의 활발한 교류 등을 제안하며, 적극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elationship between tacademic challenges,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s, and academic outcom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managing performance. The following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 and academic outcom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second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year of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third was whether the academic challenges, the learning with peers, and the experience with professor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a effect on the academic outcome.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verages of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 and academic outcom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In a comparison by the gender and grad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while some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rade. It is found that as the grades got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with peers and academic outcome got higher. It is comprehensively found that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and experience with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outcom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ccording to grade and enhancemen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are proposed to their enhance academic outcomes, and the need for activ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is emphasized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