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208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universities and regional links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the research direction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o copy with regional extinction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안현용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235~26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구 및 지역소멸의 이슈 속에서 지역과 대학의 연계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는 점에 착안,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논문, 학술지 속의 대학, 지역 간의 연계 논의의 특징을 살펴보고, 차후 더욱 실효성 있는 지역-대학 연계를 위한 논의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RISS에서 지역, 대학 간 연계의 최신성이 반영된 2010~2022년까지 출판된 논문, 학술지 중, 지역, 대학, 연계 혹은 지역, 대학, 협업이라는 키워드가 제목에 반영된 11.926편 연구를 대상으로, 시기를 3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빈도분석, TF-IDF 단어분석, 네트워크 분석, 토픽 모델링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첫째, 빈도분석에선 대학이 주체가 되어 전략을 수립하고, 연계를 통한 구체적 항목으로 교육, 지역과의 상생, 사회적 영향에 주목함을 확인했으나, 중요도 분석 결과, 교육적 효과를 지역 차원 학교에 역점을 두고 이러한 연계를 촉진하는 문화, 교사 역할에 주목함을 확인했고, 이 과정에서 지역별 차이는 고려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연계로 창출되는 항목, 즉 방향성 설정과 평가 및 인증 항목 설정에 중시, 연계사업의 표준화에 역점을 두어 지역별 차이가 고려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셋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교육 차원 토픽이 지속 높았고, 초반에는 평가, 조사, 중반에는 정책, 문화, 후반에는 정책, 사업 혹은 문화, 사업순임을 확인하여 연계 성과가 교육적 차원에 정체되며, 역시 지역별 차이 고려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이원화된 대학, 지역사회라는 시각 대신, 지역적 환경, 특성을 일차 분석한 후 이를 연계 협력 이론과 접목함으로써 수정, 보완된 상생 방안이 필요하고, 둘째, 일반적인 연계 결과 항목에 따라 지역적 특성이 가미된 추가적 혹은 가감적 항목 분석과 이에 적합한 개별적인 평가, 인증 방안 제시가 요구되며, 셋째, 지역별 주체가 각각 중시하는 차원에 우선순위를 두어 성과가 창출되는 더욱 실효성 있는 전략 구축과 그 다음 단계의 일관된 추진 필요성을 강조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discussions on linkage between regions and universities are in full swing amidst the issue of demographic and region extinction.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iscussion for effective regional-university linkage. For this research purpose, 11.926 studies in which the keywords of region, university, linkage or region, university, collaboration were reflected in the titles among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10 to 2022 reflecting the up-to-dateness of linkages between regions and universities in RISS. For the subject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frequency analysis, TF-IDF 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for each peri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e frequenc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ies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strategies and paid attention to education, win-win with the region, and social impact as specific items through linkage. It was confirmed that attention was paid to the culture and the role of teachers that promote this connection, and that regional differences were not considered in this process. Second,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regional differences were not considered by focusing on the items created by linkage, that is, setting the direction and setting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items, and focusing on standardization of linked projects. Thir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the educational level was consistently high, followed by evaluation and survey in the early stage, policy and culture in the middle, and policy, business or culture, and business in the second half. No difference considerations were seen.Fin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firstly, a modified and supplemented win-win plan is required by first analyzing the loc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and then grafting it with the theory of cooperation. linkage with modification. secondly,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linkage result items, It is required to analyze additional or subtractive item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individual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methods suitable for this. Third, it is recommended to emphasize fields by prioritizing the dimensions that each regional subject regards as important, and then to go to the next step consistent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