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이용수 468
- 영문명
- The Effect of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on Their Social Presence : Mediating Effect of Using Emoticon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채민 유순화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153~1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와 사회적 실재감의 관계에서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 사회적 실재감, 이모티콘 사용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이모티콘 사용을 경유하여 사회적 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B시와 G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503명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욕구, 사회적 실재감, 이모티콘 사용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설문조사에서 극단의 이상치 또는 이상치 응답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는 22부를 제외한 총 481부의 자료를 SPSS 27.0과 AMOS 2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모형으로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이모티콘 사용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기표현 욕구, 사회적 실재감, 이모티콘 사용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표현 욕구는 사회적 실재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표현 욕구와 사회적 실재감 사이에서 이모티콘 사용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청소년의 사회적 실재감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con u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in adolescents' SNS and social presence.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social presence, and using emotion? second, does adolescent’ 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affect social presence through the use of emoticon? In this study, 503 middle and high schools in cities B and G were surveyed to measure self-expression desire, social presence and emoticon use. Among them, a total of 481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8.0, excluding 22 copies judged to have shown extreme outliers or outliers in the survey. The mediating model was established as a research model that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on SNS would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social presence and at the same time indirectly through the use of emotic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o be suit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social presence and emoticon us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social presence. Thir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con use between adolescents'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social presence was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presence of adolescents were discuss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