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5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act of Perceived Professorial Identity and Job Embeddedn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Professor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석열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173~1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 직무 배태성, 직업만족도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과 교수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교수 정체성, 직무 배태성, 직업만족도에 차이를 알아보고, 교수 정체성의 하위변인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권역과 대학규모를 고려하여 총 27개 대학을 표집하고, 총 247부중 240명의 설문조사 결과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조직에서 교수들은 교수 정체성, 직무 배태성, 직업만족도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수정체성, 직무 배태성, 직업만족도를 교수들의 개인배경 중심으로 보았을 때,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립대학 교수들이 사립대학 교수들보다 교수로서의 정체성, 배태성, 직업만족감이 높았다. 직업만족도는 남성교수이고 정년트랙 교수이며 국외에서 학위를 취득한 교수가 높았다. 셋째, 교수정체성의 하위변인과 직무 배태성은 직업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이 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professori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embeddedn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professor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overall tendencies regarding perceived professional identity, organizational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ofessor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rofessorial identity, organization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impact of sub-factors of professori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embeddedness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240 professors working at 27 universities, selected considering university’s region and siz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drew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professors in university organizations generally perceive professorial identity, organization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when viewed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ous patterns were observed in professorial identity, organizational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Professors at national universities had higher levels of professional identity,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ose at private universitie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male professors than female professors, among tenured-track professors than non-tenured track professors, and among professors with overseas degrees than those with domestic degrees. Third, sub-factors of professori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embeddednes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rofessor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