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이용수 365
- 영문명
- Exploring the Elements of Good class in Distance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University Continui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김지응 최수이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2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요소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Keller의 미시적 수업설계 이론인 ARC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요소를 조사도구로 활용하여 J대학 LiFE사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이 원격교육에서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는 수업은 학습자를 만족하게 하는 수업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년별로 살펴본 결과 2~3학년이 신입생보다 원격교육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전략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살펴본 결과 기대하게 하는 수업이 원격교육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대하게 하는 수업이란 평가 방법과 기준의 사전 제시,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취감, 평가에 대한 기대 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에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 전략과 방법을 통한 교수설계 진행 필요, 영상 설계 원리를 적용한 학습자 맞춤형 영상 개발 및 강의 사전설계에 대해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 대한 학습 만족도와 학습 지속의향 등 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여 원격교육의 지속적인 제도 개선의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cognition factors of good classes in distance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For this reason, we used as a survey tool the recognition factors for good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developed based on Keller's instructional design theory, the ARCS model, and analyz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J University LiFE proj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lasses that adult learners perceive as good classes in distance education are classes that satisfy the learners. Secondly, looking at the results by grade, it was found tha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distance learning than freshman. Third, when we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among good teaching strategies in distance learning, we found that expected class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distance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expected classes include advance presentation of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a sense of accomplishment that appear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expectations for evaluation.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that arouse interest in learning. Efforts will be made to develop customized images for learners and advance design of lectures by applying video design principles. Therefore, we attempted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persistence among adult learners, and proposed that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