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이용수 6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Perfectionism mediated by Goal-Seeking Orientation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8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실성과 완벽성이 목표추구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목표추구 지향성을 통해 학습참여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생 18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실성은 성장추구 지향성을 통해 학습참여에는 정적 영향을,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완벽성은 확인추구 지향성을 통해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습참여를 증진하는 동기과정(성장추구 지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증진하는 동기과정(확인추구 지향성)에 영향을 주는 핵심적 성격특질(성실성과 완벽성)이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sonality, goal orientation,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One-hundred and eighty five college students completed instruments assessing personality(conscientiousness, perfectionism,), goal-seeking orientation(growth-seeking, validation-seeking), academic engagement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ests for mediation showed that growth-seeking mediated the direct effect conscientiousness had on academic engagement; while validation-seeking mediated direct effect perfectionism had on self-handicapping strategies. These results explain how key personality constructs such as conscientiousness and perfectionism effect academic engagement(growth-seeking)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validation-seeking) fostering motivational proces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문제
Ⅳ. 연구방법
V. 연구결과
Ⅵ.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