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이용수 23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Inclusive Education Class Model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전유찬 김경현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329~3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모든 유아에게 효과적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일반유아교사를 지원하는 통합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을 통해 수업 모형의 구성 요인을 추출하여 1차 초기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구안된 초안에는 교육공학 전문가 4인과 특수교육 및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두 차례에 걸쳐 전문가 타당화 검토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검토 이후에는 모형의 구체적인 수정을 위하여 개인별 심층면담을 통해 수업 모형의 개선점과 특징을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17차례에 걸쳐 수정·보완 작업을 진행하여 최종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수업 모형은 놀이 실행 전 단계, 놀이 실행 단계, 놀이 평가 및 안내의 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는 12개의 세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수업 모형은 단계별 세부 활동 및 지침, 교사의 역할, 다양한 지원자료 및 사례, 사진·삽화 등을 제시하여 일반유아교사가 특수교사나 지원인력의 도움 없이도 수업 모형에 따라 통합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여 평가까지 수월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놀이 단계별 활동을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안내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은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일선 현장에서 일반유아교사들에게 수업의 방향성을 잡아주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교수·학습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to develop an inclusive education class model that supports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ffectively teach all children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first initial class model was designed by extracting the constituent variables of the class model through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ccordingly, the proposed draft was reviewed twice for validity by four experts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two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the validation review, the improvement 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ctional model were organized and analyz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for specific modifications of the model. Afterward, reflecting on the expert review results,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17 times to complete the final integrated education class mode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eveloped class model consists of a pre-play stage, a play stage, a play evaluation, and a guidance stage, and each stage consists of 12 lower components. Since the class model presented detailed activities and guidelines for each stage of play, roles of teachers, various support materials and examples, photos and illustrations, etc.,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plan, implement, and evaluate integrated classes according to the class model without the help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support personnel. Through this, The instructional model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gives practical support by setting the direction of instruction to general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Ⅶ.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