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249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areer Education i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이도영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307~3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G시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 사례를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자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1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후 서면 자료와 홈페이지 등을 통해 확보한 자료들을 토대로 면담 질문을 구성하고 2차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마을교육공동체 기반 진로교육은 오랜 시간 형성된 마을공동체 구성원 간의 교류와 신뢰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마을 구성원의 신뢰와 헌신이라는 무형의 자원을 토대로 마을 상권의 주민들이 진로교육의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였고, 마을 내 비영리단체의 인적, 물적 지원과 지자체와의 연계를 통해 운영되었다. 꾸준한 협의와 새로운 아이템 발굴을 통해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맞춤화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 결과 해당 마을의 어른, 청년, 그리고 청소년들은 공동체성을 경험하고, 동반성장과 마을상생으로 드러났다. 또한, 청년들이 마을에 정착하는 사례들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통해 마을의 잠재력 향상이라는 성과로 드러났다.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향후 실천 방향으로는 마을교육공동체의 특성에 맞는 보다 안정적인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하고, 특히 교육활동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관련된 지원이 필요하며, 성인을 위한 마을 진로교육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 간, 그리고 마을 교육과정 간의 네트워크 플랫폼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its implementation cases, focusing on the youth career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G cit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first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then organized the second interview questions based on written data and data obtained through the website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four analysis area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began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member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infrastructure was established through human and material support based on trust, and participation of members was activated. As a resul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as diversified into a personalized,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led to the growth of the entire village in practical and potential aspects, including start-ups in the village. Accordingly, a support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direction of practice, and support related to the expertise required in educational activities is needed.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network platform between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the village curriculum.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마을공동체 기반 진로교육 사례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