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이용수 112
-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psychological status latent profiles for childcare teachers' work and Differences in resignation and turnover intention by latent profile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노언경 김경미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129~15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한 보육교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상태에 따른 사직 및 이직의도를 파악하여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내·외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만족도, 난이도, 효능감, 스트레스)에 따라 유형을 분류해 보고, 각 유형의 특징을 살펴본 후, 유형에 따라 사직 및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에 실시한 보육실태조사에 응답한 3,400명을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잠재프로파일은 '만족도·효능감 고수준 집단(31.6%)’,‘일반 집단(56.9%)’,‘만족도·효능감 저수준 집단(2.3%)’,‘난이도·스트레스 고수준 집단(9.2%)’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형화된 네 가지 집단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상태, 자녀현황, 기관유형, 총 근무경력, 현 어린이집 근무경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난이도·스트레스 고수준 집단’은 사직 및 이직의도가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심리적 상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it is necessary to stably secure healthy childcar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ign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sychological state and to explore internal and external improvement measur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tate of childcare teachers (satisfaction, difficulty, efficacy, and stress),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profile, and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resignation and turnover intention depending on the latent profil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on 3,400 respondents of a childcare survey conducted in 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groups were identified: a high-level satisfaction and efficacy group (31.6%), a general group (56.9%), a low-level satisfaction and efficacy group (2.3%), and a high-level difficulty and stress group (9.2%).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ategorized groups, including age, marital status, child status, institutional type, total work experience, and current work experience at daycare centers, were examined. The high-level difficulty and stres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ntion to resign and turnov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status of childcare teachers were discussed.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