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188
- 영문명
- A Study of Research Trend on Flipped Learning in Korea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Instructional Process
- 발행기관
-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신붕섭
- 간행물 정보
- 『교육종합연구』제21권 제2호, 195~2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5년(2018~2022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대학수업을 대상으로 수행된 플립러닝의 연구 경향을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수집, 분석하였다. 첫째, 교양교과(외국어 등)를 포함한 인문학, 교직교과를 포함한 교육학, 그리고 간호학 전공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수업 과정을 기준으로 보면, 수업 실행(43.4%)과 수업 효과(40.5%)에 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수업 설계를 할 때 역량기반의 교육과정과 교수설계의 토대인 백워드 설계모형을 적용하는 연구가 등장하였다. 학습 만족, 학습 동기, 학습효능감을 포함하는 학습과정을 종속변인으로 삼아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기주도학습,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등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종속변인으로 삼은 연구도 많았다. 새로운 역량으로 강조되는 행위자 주체성(agency)을 탐구한 연구도 등장하였다. 플립러닝을 다른 학습자 중심의 수업전략과 결합하여 설계하고 운영하는 연구, 대학 자체적으로 설정한 역량체계를 활용하여 수행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flipped learning on higher education on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In the last five years, the academic articles was mostly published on the Human science(liberal education), Education(teaching profession, Nursing area. Second, In recent, The Design of flipped learning was generated by Backward by Design(by Wiggins and McTighe) which support Competency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papers on flipped learning on the implementing stage was published b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department of nursing, and teaching profession area. Fourth, The researchers designed dependent variables of the Learning process as academic satisfaction, academic efficacy, learning motive mostly.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학계열 대학 학과 및 학문 간 거리: 취업분야를 중심으로
-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원격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소 탐색
- 의료 시뮬레이션의 XR과 VR 적용환경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사용성평가와 학습만족도의 차이
- 대학생의 목표추구 지향성을 매개로 한 성실성과 완벽성의 관계: 학습참여 및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을 초점으로
- 학부모의 마음을 사로잡는 SNS(밴드) 소통 경험에 대한 어느 초임 교사의 이야기: 사례 연구
- 보육교사의 업무에 대한 심리적 상태 유형화와 유형별 사직 및 이직의도 차이
- 청소년의 SNS에서의 자기표현 욕구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 이모티콘 사용의 매개효과
- 대학교수가 지각한 교수 정체성과 직무 배태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연구의 경향: 수업 과정을 중심으로
- COVID 19 전후의 오프라인과 온라인 강의평가 차이 비교
- 학습정보 처리과정 척도개발
- 경계선 지능 학습자를 위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방안
- 마을교육공동체의 진로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 통합교육 수업 모형 개발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국내의 대학과 지역 연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지역 특성별 연계 연구 방향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