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후방 투영법으로 획득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 평가

이용수 9

영문명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of Landmark Identification in Anteroposterior Cephalograms
발행기관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저자명
이서현(Seohyun Lee) 강성자(Sung-Ja Kang) 임선영(Sun-Young Lim) 조진형(Jin-Hyoung Cho)
간행물 정보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8권 9호, 747~75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살펴보는 한편 이를 후전방 사진에서와 비교함으로써 임상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전후방 및 후전방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디지털 방식으로 채득한 후 각 영상에서 6개(Cg, ANS, Me, Lo, J, Ag)의 계측점을 5명의 조사자가 설정하는 한편 이중 한 명의 조사자는 2주후에 재설정을 하게 하였다. 조사자내 산포도, 조사자간 산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전후방 사진에서의 오차를 후전방 사진에서의 오차와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 발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산포도를 작성한 결과 Crista galli, ANS는 수직 방향으로, Menton은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Antegonion은 사선 방향의 오차를 보였다. 2. 조사자내 오차보다는 조사자간 오차가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3.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후전방 사진에서와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조사자내 조사자간 오차 관계없이 어느 계측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전후방 정 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오차를 후전방 사진과 비교시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경우에도, 조사자내 조사자간 오차 관계없이 모든 계측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 디지털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가 후전방 사진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므로 임상에서 전후방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landmark identification in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nteroposterior (AP) projection by comparing the errors in the AP cephalograms with those in the posteroanterior (PA) cephalograms. A couple of frontal cephalograms, one with AP projection and another with PA projection, were obtained in 20 adult individuals using a digital cephalometer. Five examiners identified 6 landmarks (Cg, ANS, Me, Lo, J, Ag) on the monitor-displayed radiographs. In order to assess the intra-examiner errors, the landmarks were identified twice with two weeks of time interval by one of the examiners. The intra- and inter-examiner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 AP cephalogram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PA cephalograms. 1. Scattergrams illustrating the errors of landmark identification in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P projection showed characteristic noncircular envelope of error in both intra- and inter-examiner scattergrams. Crista galli and ANS showed vertical direction errors. Menton and Antegonion showed hirizontal and oblique direction errors respectively. 2. Inter-examiner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intra-examiner error. 3. Comparing the errors of AP cephalograms with those of PA cephalograms, none of landmarks wer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mage modalities. 4. Analyzing landmark identification errors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all landmarks were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pose that frontal cephalograms obtained with AP projection may be used clinically with the same landmark identification reproducibility as the conventional PA projections.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성적
4. 총괄 및 고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서현(Seohyun Lee),강성자(Sung-Ja Kang),임선영(Sun-Young Lim),조진형(Jin-Hyoung Cho). (2018).전후방 투영법으로 획득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 평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9), 747-756

MLA

이서현(Seohyun Lee),강성자(Sung-Ja Kang),임선영(Sun-Young Lim),조진형(Jin-Hyoung Cho). "전후방 투영법으로 획득한 정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점 설정 재현도 평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9(2018): 747-7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