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이용수 2

영문명
A Review of Contextual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Co-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한하림(Ha-lim Ha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2輯, 525~54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290편의 한국어 교육 맥락 관련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LDA 토픽 모델링과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한국어 교육의 맥락 연구에서 ‘문화’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동시 출현 단어 분석에서는 ‘언어, 담화, 상황’이 문맥 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 단어로 제시되었다. 키워드 빈도 분석에서 ‘문화’가 1순위로 나타났으나 동시 출현 단어에서는 상위 단어로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미시 수준에서의 상호작용과 상황에 대한 연구를 넘어,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담론이 한국어 교육에서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맥락 관련 담론이 ‘언어 사용자와 맥락, 의사소통 기능과 맥락, 텍스트 구성과 맥락, 한국어 수업과 맥락’으로 분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 사용자와 맥락’은 체계 기능 언어학, ‘의사소통 기능과 맥락’은 화용론, ‘텍스트 구성과 맥락’은 텍스트 언어학, ‘한국어 수업과 맥락’은 교육학의 접근 방식으로 맥락 개념을 활용하고 있었다. 한편, LDA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과제, 활동, 수업’과 같은 단어가 주제어로 제시된 영역은 없었다. 이는 구성적 관점에서의 맥락 개념을 활용한 교수 방법론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LDA topic modeling and Co-word analysis on 290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xtual research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culture' was the most frequent ter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xtual research. The Co-word analysis showed that 'language, discourse, and situation'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s in the context. In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culture' was ranked first, but it was not listed as a top word in the co-occurrence analysis. This suggests that beyond the study of micro-level interactions and situations context, discourse on socio-cultural context needs to be more activ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DA topic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at context-related discour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ategorized into 'language users and context, communicative function and context, text composition and context, and Korean class and context'. 'Language users and context' is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communicative function and context' is pragmatics, 'text composition and context' is text linguistics, and 'Korean class and context' was based on a pedagogical approach and utilized the concept of context. The LDA topic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areas where words such as 'assignment, activity, and class' were presented as topic terms.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teaching methodologies that utilize the concept of context from a constructive perspective.

목차

1. 서론
2. 맥락 관련 연구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하림(Ha-lim Han). (2024).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어문연구, (), 525-547

MLA

한하림(Ha-lim Han). "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어문연구, (2024): 525-5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