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을까 말까 하다’ 구문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lkka malkka hada’ Indicating Negative Bias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왕완지(Wanzhi Wang)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2輯, 35~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을까 말까 하다’가 부정적 편향을 지니는 경우가 있음을 보이고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특정한 문맥이 무엇인지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영어에서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척도 표현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어에서는 낮은 척도에 위치한 표현이 부정적 편향을 강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을까 말까 하다’ 구문에서는 낮은 지점의 척도 표현이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면서도 영어와 달리 부정극어로 취급되지 않는 차이를 확인하였다.
‘-을까 말까 하다’ 구문과 결합할 수 있는 양의 척도와 빈도 척도를 살펴보았으며, 사태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음을 표현하기 위한 방책을 제시하였다. 양의 척도가 사용될 경우, ‘-을까 말까 하다’는 주로 특정 개체가 참조값에 도달할 가능성이 낮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빈도 척도와 결합할 경우, ‘-을까 말까 하다’는 사태 발생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양의 척도 또는 빈도 척도가 쓰인 ‘-을까 말까 하다’가 관형 형식으로써 후행 형용사의 심한 정도를 극대화하여 나타내기도 한다. 한편, 사태의 발생 가능성을 극히 낮다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극단적인 사태를 최소 조건으로 설정하거나 가능성이 낮은 사태와 비교하는 방책을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을까 말까 하다’ 구문은 화자의 경험과 세상 지식을 바탕으로 개념 척도에 대한 정교한 추론을 표현하는 중요한 언어적 수단임을 입증하였다.
향후 과제로서 ‘편향’이라는 의미론적 개념을 한국어학적으로 체계화하기 위해 이를 나타내는 다양한 한국어 구문과 구성을 수집하고 체계화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한국어의 구문과 구성이 지니는 고유한 의미적 기능과 통사적 특징을 심도 있게 모색하고 ‘편향’을 나타내는 언어적 방책을 유형화함으로써, ‘편향’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정교한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specific contexts and diverse syntactic features of the negative bias expressed by the construction ‘-lkka malkka hada’. Fir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calar expressions that indicate negative bias in English, it was demonstrated that expressions located at the low scale play a crucial role in emphasizing negative bias in Korean.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unlike English, scalar expressions in the ‘-lkka malkka hada’ construction, while indicating negative bias, are not treated as negative polarity items.
The study examined the amount scales and the frequency scales that can combine with the ‘-lkka malkka hada’ construction and proposed strategies to express an extremely low likelihood of an event occurring. When an amount scales is used, ‘-lkka malkka hada’ conveys the meaning that the likelihood of a specific entity reaching the reference value is low. When combined with a frequency scale, the construction indicates that the possibility of the event occurring is extremely low. In cases where either a positive scale or a frequency scale is used, ‘-lkka malkka hada’ in its adnominal form can also convey the extreme degree of the following adjective. Additionally, strategies such as setting an extreme event as the minimum condition or comparing it with an even less likely event were identified to emphasize the exceedingly low probability of occurrence.
This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lkka malkka hada’ construction serves as an important linguistic tool for expressing refined inferences about scales based on the speaker’s experience and knowledge. A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constru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express the semantic concept of ‘bias’ in Korean linguistics. By categorizing the linguistic strategies for representing ‘bias’ in Korean and deeply examining the unique semantic functions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a more systematic and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bias’.
목차
1. 문제제기
2. 기본적 논의: 척도 표현과 부정적 편향의 관계
3.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특정한 문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을까 말까 하다’ 구문
- 지명설화를 통해 본 향유자의 낙원의식 : 횡성군 하궁리를 중심으로
-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신화적 해석 : 동명계 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 김동명 시의 대속(代贖)적 주체와 사랑의 윤리학 :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왕시전> 속 남성 주인공의 개성적 면모와 그 의미
- 비체로서의 어머니와 김성동의 가족로망스 : 김성동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홍길동전>의 유쾌한 변용, 묵직한 메시지 : 웹툰 <공길동전>(2008)의 내용적 특징과 콘텐츠 가치
- 박인환의 미국 체험 시에 나타난 여행자의 정동(情動) 양상 연구
- 해방기 문예교육의 양상과 특징 : 계룡학숙(鷄龍學塾)의 <한글문예독본>을 중심으로
- 개체들의 공동체 : 한국문학과 진보
- 영어트랙 유학생의 한국어학습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 : 어휘학습을 중심으로
- 텍스트의 재현과 작품의 현실화 : 이제하의 「풀밭 위의 식사」론
- 한국어 교재 개편에서 드러난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과 제언 : ≪서울대 한국어≫(2012-15)와 ≪서울대 한국어+≫(2022-23)를 중심으로
- 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