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Bokdang Changsurok≫ by Bokam Lee Seol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연민희(Min-hee Yeon)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2輯, 159~18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福堂唱酬錄≫은 復菴 李偰을 위시하여 12명의 애국지사들이 ‘감옥[福堂]’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1905년 12월 5일부터 12월 30일까지 26일 동안 함께 지내면서 서로 주고받은 시를 수록한 수창집이다. ≪복당창수록≫에 등장하는 수창자들은 모두 을사늑약에 항거하다가 체포된 애국지사들이다. 이들 중 일부는 조국을 구하기 위하여 항일 의병 활동에 적극적으로 투신하였고, 일부는 을사늑약의 부당함과 을사오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는 죄목으로 투옥되었다. 그리고 황성신문의 주필인 장지연은 1905년 11월 20일자 황성신문에 <是日也放聖大哭>이라는 명문을 개재하였다가 수감되었다. ≪복당창수록≫에 실려 있는 시는 5언절구 15수, 7언절구 19수, 5언율시 13수, 7언율시 94수로 총 63제 141수이다. 이 수창집에 실려 있는 시는 크게 네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설의 자작시, 김복한과 주고받은 시, 3~10명이 동시에 수창한 시, 8~9명이 함께 창작한 聯句 등이다. 이 중에서 한정된 시간과 공간에서 지어진 작품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수창시와 聯句만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작품들에 내재된 당시 우국지사들의 의식과 그들이 추구했던 삶의 지향점, 시대정신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이 창수록이 가지고 있는 문학사적 위상과 의의를 구명하였다. ≪복당창수록≫의 작시자들은 감옥에서 수창한 작품을 수합하여 문학적 자료로 남겨놓았다는 점에서 우선적으로 그 존재 가치와 희귀성이 있다. 그리고 이 애국지사들은 수창시를 통해 각자 내면에 자리 잡은 애국심을 토로하였고, 조국을 구원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며 동지의식을 표출하였다. 그리고 3편의 聯句 창작을 통해 문학적 창작능력을 발휘하였다. 이들은 충효와 같은 유학 사상을 기반으로 한 <복당연구>를 짓다가 감옥이라는 공간에서 내리는 눈을 보고 시선을 전환하여 <영설연구>를 지어 시상을 펼쳤다. 이어 <대주연구>를 지어 술을 통해 정신적 자유를 누리는 경지로 확대하면서 시공의 한계를 문학적으로 극복하고, 이를 통해 자유인의 경지를 획득하였다. 이러한 점은 ≪복당창수록≫의 문학사적 위상과 작품 자체의 문학성을 입증하는 실증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Bokdang Changsurok≫ is a collection of poems exchanged by twelve patriotic activists, including Bukan Lee Seol (復菴 李偰), while confined together in the special setting of a prison, referred to as “Bokdang”. The poems were composed and exchanged over a period of 26 days, from December 5 to December 30, 1905. The contributors to ≪Bokdang Changsurok≫ were all patriotic figures who were arrested for resisting the Eulsa Treaty of 1905. Some of them actively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militia (righteous army) movements to save their nation, while others were imprisoned for submitting petitions denouncing the unfairness of the Eulsa Treaty and demanding the punishment of the “Eulsa Five Traitors” who signed the treaty. Additionally, Jang Ji-yeon, the chief editor of the Hwangseong Newspaper, was also imprisoned after publishing a famous editorial titled “This Day We Cry Aloud in Great Sorrow”(是日也放聲大哭) in the November 20, 1905 issue of the newspaper. The poems included in ≪Bokdang Changsurok≫ consist of 15 five-character quatrains, 19 seven-character quatrains, 13 five-character regulated verses, and 94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s, amounting to a total of 63 themes and 141 poems. The poems in this collection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four types: Lee Seol’s (李偰) original compositions, poems exchanged with Kim Bok-han, poems collaboratively composed by 3 to 10 contributors, and linked verses (聯句) created by 8 to 9 individuals together.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works composed within the limited time and space of their confinement, this study narrows its focus to the collaboratively written poems (수창시) and linked verses. The analysis specifically examines the consciousness of the patriotic figures at the time, their aspirations for life, and the spirit of the era embodied in these works. Furthermore, the study explores the literary significance and historical value of this collection in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The authors of ≪Bokdang Changsurok≫ hold intrinsic value and rarity for having compiled their collaborative works created in prison into a literary record. Through their collaborative poems, these patriotic figures expressed the patriotism deeply rooted within their hearts, demonstrated their resolve to save their nation, and fostered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among comrades. Additionally, they showcased their literary creativity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ree linked verses. Based on Confucian ideals such as loyalty and filial piety, they initially created Bokdang Yeon-gu (福堂聯句). However, upon observing the falling snow outside their prison cell, they shifted their focus and wrote Yeongseol Yeon-gu (詠雪聯句), expanding their poetic themes. Subsequently, they composed Daeju Yeon-gu (對酒聯句), using the motif of wine to explore a state of spiritual freedom. Through these works, they transcended the physical and temporal limitations of their confinement, achieving a metaphorical sense of liberation and embodying the perspective of a free spirit. These aspects serve as concrete evidence of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Bokdang Changsurok≫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well as the artistic value of the works themselves.

목차

1. 序言
2. ≪福堂唱酬錄≫의 저술 배경
3. ≪福堂唱酬錄≫의 시 분석
4. 문학사적 의의 및 結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민희(Min-hee Yeon). (2024).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어문연구, (), 159-183

MLA

연민희(Min-hee Yeon). "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어문연구, (2024): 159-1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