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n changes of the ‘lower ㅏ(ㆍ)’ in the Jeju dialect - Based on the 20th century dialect data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장정민(Jung-min Jang) 배영환(Young-hwan Bae)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22輯, 65~9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제주 방언의 어두에 나타나는 ‘ㆍ’의 변화 양상을 방언 자료집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어방언집(1947)』과 『제주방언연구(1962)』, 『한국방언자료집(1995)』에 나타난 ‘ㆍ’를 가진 어형을 목록화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 방언에서 ‘ㆍ’는 어두에서 대체로 유지되고 있었으며, 일부 어형에서 ‘ㆍ>ㅏ’, ‘ㆍ>ㅓ’, ‘ㆍ>ㅗ’, ‘ㆍ>ㅜ’ 등의 변화가 확인되었고, 아울러 본래 ‘ㆍ’가 아니었던 어형이 ‘ㆍ’로 실현되기도 하였다. 그중 ‘ㆍ>X'의 변화는 1940년대 이전부터 발생했으며 1950년대를 기점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ㆍ’의 변화는 1990년대까지도 지속되었으며 ‘ㆍ>ㅏ’에서 ‘ㆍ>ㅓ’의 변화로 방향성을 달리하였다. 한편, ‘ㆍ’의 변화 양상을 선행 자음별로 분석하면 ‘ㄴ>ㅁ>ㅂ(ㅍ)>ㄷ(ㅌ)>ㄱ>ㅈ(ㅊ)>ㅎ>ㅅ’ 순으로 ‘ㆍ’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설정성] 자질에서 ‘ㆍ’가 먼저 변화되었다는 논의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 그러므로 제주 방언 ‘ㆍ’는 중세 문헌어에서 보이는 변화의 양상과 달리 [+소음성]을 가진 치찰음 뒤에서 먼저 변화가 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ㆍ>ㅓ’의 변화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는데, 표준어와 동일한 변화를 겪은 ‘버리다’류와 ‘ᅟᆢ’에서 변화한 ‘ᅟᆢ>ㆍ>ㅓ’류, 마지막으로 1960~1990년대에 발생한 모음 체계 변화에 따른 ‘ㆍ>ㅓ’ 합류이다. ‘X>ㆍ’의 변화는 중세어 이전의 고형 ‘ᅟᆢ’가 중앙어와 달리 제주 방언에서는 ‘ㆍ’로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현재 제주 방언에서는 ‘ㆍ’뿐만 아니라 그 이전형인 ‘ᅟᆢ’가 중앙어에 비해 오랫동안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ㆎ’ 역시 어느 시기에 ‘ㆎ>ㆍ’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제주 방언에서 ‘ㆍ’의 변화가 발생하자 이러한 변화에 대한 반작용으로 일부 어휘에서 본래 ‘ㆍ’가 아니었지만 ‘ㆍ’로 변화한 이른바 과도교정 역시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ㆍ’형과 ‘ㆍ’가 아닌 어휘가 유사한 어형을 가지고 있을 경우 ‘ㆍ’형이 생겨나는 ‘감염’의 예가 보이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ㆍ' that appear in the beginning of word of the Jeju dialect, focusing on the dialect data collection. To this end, we catalogued and analyzed the word types with '·' that appeared in 『The Jeju dialect(1947)』, 『The Jeju dialect study(1962)』, and 『The Korean dialect database(1995)』. As a result, '·' was generally maintained in the beginning of word in the Jeju dialect, but changes such as '·>ㅏ', '·>ㅓ', '·>ㅗ', and '·>ㅜ' were confirmed in some word forms. In addition, some word forms, which was not originally '·', was realized as '·'. The change in '·>X' occurred before the 1940s and was actively carried out from the 1950s. This change in '·' continued until the 1990s, and the direction changed from '·>ㅏ' to '·>ㅓ'. When analyzing the pattern of change in '·' by preceding consonant, '·' was maintained in the order of 'ㄴ>ㅁ>ㅂ(ㅍ)>ㄷ(ㅌ)>ㄱ>ㅈ(ㅊ)>ㅎ>ㅅ', showing that '·' is best maintained behind 'ㄴ' with the [+coronal]. These results are difficult to explain with the discussion that '·' was changed first from the existing [+coronal]. Therefore, unlike the pattern of change seen in medieval korean, it can be assumed that the Jeju dialect '·' began to change first after the sibilant with the [+strident]. And There are three types of changes in '·→ ㅓ', which are the same as standard words, '버리다' and 'ᅟᆢ>ㆍ>ㅓ' which are changed from 'ᅟᆢ', and finally the '·>ㅓ' that changed from the vowel system that occurred in the 1960s and 1990s. The change in 'X>·' was due to the change in 'X>·' because the old form 'ᅟᆢ' before the medieval ages changed to '·' in the Jeju dialect, unlike the central languag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not only '·' but also its previous form 'ᅟᆢ' was maintained for a longer time in the current Jeju dialect compared to the central languag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ㆎ>·' at some point in the 'ㆎ' as well, and when the change of '·' occurred in the Jeju dialect, it was confirmed that hypercorrection occurred in which some vocabulary words changed to '·' although they were not originally '·' in response to this change. Finally, an example of 'contamination' in which a '·' type occurs when a similar word type is used.

목차

1. 서론
2. ‘ㆍ’의 변화 양상
3. 변화 양상의 분석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정민(Jung-min Jang),배영환(Young-hwan Bae). (2024).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 65-92

MLA

장정민(Jung-min Jang),배영환(Young-hwan Bae).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024): 65-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