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신화적 해석 : 동명계 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mythological interpretation of space migration in Honggildongjeo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진영(Ji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2輯, 129~15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신화적 전통과 문학적 가치를 규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공간 이동의 전통은 고대의 동명계 신화에서 보편적이다. 따라서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은 동명계 신화의 기법을 계승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동명계 신화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서사적 성격을 확인한 다음,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을 신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가치를 확인하고자 했다.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명계 신화의 전승과 공간 이동의 서사적 성격을 검토하였다. 동명계 신화는 다양한 고대국가에서 지배자로서의 당위성 확보를 위해 활용하였다. 정복을 통한 영역의 확장 때문에 이들 신화에는 공간 이동이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공간 이동을 중요하게 다루다 보니 그곳에 유의미한 서사적 성격이 담기게 되었다. 공간 이동 이전인 기존 공간에서는 주인공의 비범한 출생과 성장을 다루다가 이동 공간을 통해 축적된 능력의 발현으로 새로운 왕이 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투쟁을 통해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 영웅의 모습을 공간 이동을 통해 구현한 것이다.
둘째,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을 신화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홍길동은 동명계 신화의 영웅인물과 유사하다. 먼저 동명계 신화의 주인공이나 홍길동 모두 공간 이동 이전 국가에서 능력을 함양하도록 했다. 대체로 공간 이동 이전의 국가는 주인공에게는 결핍과 불만의 세계로 형상화된다. 뛰어난 능력을 갖추었지만 그것이 위험 요인으로 작용하여 거부와 배척의 대상이 된다. 공간 이동을 통해서는 축적된 영웅적 능력을 발현하도록 했다. 동명계 신화의 주인공이나 홍길동 모두 공간 이동을 통하여 원대한 욕망이 실현되도록 했다. 이처럼 공간 이동 전후의 성격이 같기에 <홍길동전>은 동명계 신화를 토대로 전체 구도가 짜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이 갖는 문학적 가치이다. 동명계 신화의 공간 이동은 <홍길동전>으로 수용되면서 기법이나 내용에서 변화가 생겼다. 먼저 공간 이동이 역사적 내력담에서 문학적 비유담으로 조정되었다. 고대의 개척과 투쟁적인 신화담론에 중세의 운명적인 소설담론의 성격이 가미되어 빚어진 일이다. 다음으로 서사적 목표가 이동 공간에서 기존 공간을 지향하도록 했다. 공간 이동을 통해 구축한 새로운 세계보다는 기존 공간에다 서사적 지향점을 두었다. 중세적인 이념과 제도로 무장된 기존 국가의 문제를 시정하기 위하여 비유의 대상으로 새로운 공간의 이상국가가 필요했던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identifying the tradition of spatial movement and its narrative value in the Honggildongjeon. The tradition of spatial movement was common in ancient founding myths, and the spatial movement in Honggildongjeon inherits the techniques of founding myths. Therefore, this paper identifies the tradition of spatial movement and interprets the movement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o summarize the discussion so far.
First, the tradition and succession of spatial movement in classical narratives is identified. Mythology and classical novels are the genres that are most interested in spatial migration. In ancient founding myths, spatial movement is essential as pioneering heroes conquer new territories and build ancient nations there. This tradition has been inherited by classical novels. Works that deal with new countries and new worlds through spatial movement fall into this category.
Second, the spatial movement in Honggildongjeon was interpreted in terms of mythology. Hong Gil-dong, the protagonist of this work, is similar to the hero of the Jumong myth. First, in both works, the hero develops his abilities in the country before the spatial shift. Generally speaking, the country before the spatial shift is represented as a world of deficiency and dissatisfaction for the protagonist. The spatial shift allows both works to realize the accumulated heroic abilities. Through the spatial shift, all of the protagonist's great desires are realized. The same characterization before and after the spatial shift suggests that the entire composition of Honggildongjeon is based on the founding myth.
Third, the literary value of the spatial shift in Honggildongjeon was focused on. The spatial shift of the Jumong myth was adapted into Honggildongjeon, and changes were made in technique and content. First, the spatial movement was adjusted from a historical narrative to a literary allegory. The pioneering mythological narrative of ancient times was replaced by the fatalistic fictional narrative of the Middle Ages. Next, the spatial movement shifted from ancient land-based travel to medieval maritime travel. The medieval perception of the world is reflected in the shape of the work. Finally, the narrative goal is shifted from moving space to existing space. The narrative objective of the spatial movement is not a new country, but an existing country. Medieval settlement rather than ancient frontier life triggered this change.
목차
1. 서론
2. 동명계 신화의 전승과 공간 이동의 서사적 성격
3. <홍길동전>의 공간 이동과 신화적 분석
4.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문학적 가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을까 말까 하다’ 구문
- 지명설화를 통해 본 향유자의 낙원의식 : 횡성군 하궁리를 중심으로
-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신화적 해석 : 동명계 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 김동명 시의 대속(代贖)적 주체와 사랑의 윤리학 :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왕시전> 속 남성 주인공의 개성적 면모와 그 의미
- 비체로서의 어머니와 김성동의 가족로망스 : 김성동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홍길동전>의 유쾌한 변용, 묵직한 메시지 : 웹툰 <공길동전>(2008)의 내용적 특징과 콘텐츠 가치
- 박인환의 미국 체험 시에 나타난 여행자의 정동(情動) 양상 연구
- 해방기 문예교육의 양상과 특징 : 계룡학숙(鷄龍學塾)의 <한글문예독본>을 중심으로
- 개체들의 공동체 : 한국문학과 진보
- 영어트랙 유학생의 한국어학습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 : 어휘학습을 중심으로
- 텍스트의 재현과 작품의 현실화 : 이제하의 「풀밭 위의 식사」론
- 한국어 교재 개편에서 드러난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과 제언 : ≪서울대 한국어≫(2012-15)와 ≪서울대 한국어+≫(2022-23)를 중심으로
- 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