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재 개편에서 드러난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과 제언 : ≪서울대 한국어≫(2012-15)와 ≪서울대 한국어+≫(2022-23)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Proposition and suggestion of the nominated vocabulary revealed in the reorganiza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2012-15)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2022-23)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덕신(Deok-shin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2輯, 503~5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방위 명칭과 지명을 포함하여 이를 ‘지명 어휘’라 명명하고, 교재 개편에서 나타난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을 살핀 후 몇 가지 교육적 제언을 하였다. 2012-15년에 출판된 ≪서울대 한국어≫와 2022-23년에 출간된 ≪서울대 한국어+≫에 나타난 지명 어휘를 살핀 결과 ≪서울대 한국어+≫는 이전 교재에 비하여 교재의 분량은 줄었으나 지명 어휘 수는 줄지 않았으며, 오히려 지도를 이용하여 이전 교재보다 더 앞선 단원에서, 더 많은 수의 지명 어휘를 노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두 교재 ‘≪서울대 한국어≫:≪서울대 한국어+≫’를 비교한 결과 ‘명동:강남’은 ‘남산, N남산타워:강남역, 압구정역, 논현역’으로, ‘남해:동해’는 ‘통영, 거제도:한반도섬, 강릉’으로 대응되게 나타났다. 교재에 소개된 중심지가 명동에서 강남으로 바뀌고, 여행지로는 강원도가 부상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명을 상표로 삼아 지역마다 지명이 들어간 축제를 하거나 상품화하는 특징이 드러났다. 다만 아쉬운 점은 두 교재 모두에서 특정 지역은 대표성을 띠고 자주 제시되었으나(여행: 부산, 제주도, 강원도, 음식: 전주비빔밥, 강릉 순두부), ≪서울대 한국어≫에서는 청주, 울산이, ≪서울대 한국어+≫에서는 청주, 울산뿐만 아니라 대전, 광주(전라남도), 대구 등은 제시되지 않아 지역 소외 현상이 여전히 나타났다.
지명 어휘 중 위치를 나타내는 방위 명칭은 체계성이 있어 여러 어휘를 형성한다. 특히 행정구역 이름에는 방위 명칭이 포함된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지명 어휘목록을 만드는 것을 제안한다. 이것을 만든다면 지명 어휘를 고르게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어휘를 확장하여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시행할 교재 인증제를 위하여 교재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지명 어휘에는 그 지역의 문화가 고스란히 담겨 있으므로 한국 문화교육에도 이바지하는 바가 클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ominated word was named ‘nominated vocabulary', and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minated vocabulary,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ere made.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t was used as the nominated vocabulary that appear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published in 2012-15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 published in 2022-23, 7-9 years later. As a result of exami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 revealed that the amount of textbooks decreased, but the number of nominated vocabulary did not decrease, but rather, it was revealed that more units were exposed than the previous textbooks using maps.
Furthermo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wo textbook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Language': ’Myeongdong: Gangnam' corresponds to ‘Namsan, Namsan Tower: Gangnam Station, Apgujeong Station, Nonhyeon Station,' and ’Namhae: Donghae' corresponds to ‘Tongyeong, Geoje Island: Korean Peninsula Island, Gangneung.'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center of the textbook was changed from Myeong-dong to Gangnam, and Gangwon-do emerged as a travel destinatio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each region had a festival with a place name as a brand or commercialized it. Unfortunately, in both textbooks, certain regions were represented and frequently presented (Travel: Busan, Jeju Island, Gangwon Province, Food: Jeonju Bibimbap, Gangneung Soom Tofu), but Cheongju and Ulsa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n+” did not present Cheongju and Ulsan, as well as Gwangju in Jeollanam-do and Daegu, which resulted in discrimination.
Nominated vocabulary has its own vocabulary rules based on the defense word, forming several vocabulary words. In particular, since there are many districts that ar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made of East, West, North, and South defense words, it was suggested to educate and systematize them in defense words to make a list of place names. If a list of nominated vocabulary is created,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marginalized place names, and furthermore, the nominated vocabulary can be included as a sub-field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It has the effect of enrich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for the textbook certif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and it will provide practical help to foreigners who will continue to reside in Korea according to the plan to attract and enhance international students. The local culture is intact in the nominated vocabulary, so it will help you learn Korean culture.
목차
1. 머리말
2. 교재 분석
3.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
4. 제언과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을까 말까 하다’ 구문
- 지명설화를 통해 본 향유자의 낙원의식 : 횡성군 하궁리를 중심으로
-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신화적 해석 : 동명계 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 김동명 시의 대속(代贖)적 주체와 사랑의 윤리학 :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왕시전> 속 남성 주인공의 개성적 면모와 그 의미
- 비체로서의 어머니와 김성동의 가족로망스 : 김성동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홍길동전>의 유쾌한 변용, 묵직한 메시지 : 웹툰 <공길동전>(2008)의 내용적 특징과 콘텐츠 가치
- 박인환의 미국 체험 시에 나타난 여행자의 정동(情動) 양상 연구
- 해방기 문예교육의 양상과 특징 : 계룡학숙(鷄龍學塾)의 <한글문예독본>을 중심으로
- 개체들의 공동체 : 한국문학과 진보
- 영어트랙 유학생의 한국어학습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 : 어휘학습을 중심으로
- 텍스트의 재현과 작품의 현실화 : 이제하의 「풀밭 위의 식사」론
- 한국어 교재 개편에서 드러난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과 제언 : ≪서울대 한국어≫(2012-15)와 ≪서울대 한국어+≫(2022-23)를 중심으로
- 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