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Syntactic Functions of Bound Noun ‘ttaemun’ Construction : Focusing on the ‘- gi ttaemune’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김혜영(Hye-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22輯, 5~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의존명사 ‘때문’과 선·후행 성분 ‘-기’와 ‘-에’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고 ‘-기 때문에’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징과 기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의존명사는 ‘의존성’과 ‘명사성’이라는 두 가지 대표적인 특징으로 규정되는데 의존명사 ‘때문’을 비롯한 몇몇 의존명사들은 이 두 가지 특징 외에 통사적·의미적으로 특수한 성격을 띤다. 의존명사 ‘때문’은 선행 성분으로 관형형 어미 ‘-ㄴ’을 취하지만 현대국어에서 그 쓰임새는 매우 적다. 의존명사의 특성상 관형어의 수식을 받아야 하지만 ‘때문’의 선행어가 실질적으로 명사나 명사의 기능을 하는 명사류라는 점에서 의존명사 ‘때문’을 수식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때문’의 선행 요소로 ‘명사, 대명사, -기, -ㄴ/은 것’까지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과정에서 ‘때문’과 ‘-(으)ㅁ’, ‘-기’의 선택적 결합관계를 통시적 연구에 기대어 ‘-기’형 연결어미와 ‘-기 ᄯᆡ문에’의 등장 시기에 주목하고 ‘-기’에도 ‘원인·이유’의 의미가 있음을 확인했다.
‘때문’의 후행 성분 ‘-에’도 ‘원인’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이때 선·후행 성분과 ‘때문’이 결합한 ‘-기 떄문에’ 구성만이 문법적 기능을 수행했다. ‘-기 때문에’는 문장에서 ‘원인+결과’의 의미관계를 나타내며 연결어미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 결과 주어인칭제약, 서법제약, 시제제약 등의 연결어미들이 갖는 통사적 제약들도 보였다.
의존명사 ‘때문’이 ‘-기(원인)+때문(원인)+에(원인)’의 구성으로 굳어지면서 ‘이유’나 ‘원인’의 의미를 더 강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이는 의존명사 ‘때문’이 가지고 있었던 기본 의미에서 선·후행 성분의 의미 자질이 더해지면서 ‘-기 때문에’ 구성은 다른 요소가 첨가될 수 없을 만큼의 높은 결합도를 나타냈다. 또한 ‘-기 때문에’는 각 성분의 의미적 합성에 따른 결과로 ‘-기(원인) + 때문(원인) + 에(원인) + α(강조)’에는 ‘원인’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이유’를 더 분명하게 말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과거 시점이나 완료된 사건을 강조하여 말ᅙᅡᆯ 때 ‘-았/었기 때문에’는 유사 연결어미 표현들과 구별되는 의미 영역이 있음을 주장했다.
최근에는 ‘때문’ 구성이 문두에 등장하여 접속사의 기능을 하거나 문장 끝에서 문장을 종결하는 기능을 하는 등 그 쓰임새가 더욱 다양해졌다. 이는 ‘-기 때문에’가 아직 하나의 완전한 문법소로 자리잡지는 않았지만 연결어미의 기능을 확고히 하고 있으며, 문장 끝에서는 종결어미의 기능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본고는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기능을 ‘때문’의 선·후행 결합 관계를 통해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의존 명사 ‘때문’에 대한 연구가 미진했던 차에 이 연구가 의존명사의 기능을 한층 더 폭넓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meaning, and function of the bound noun ‘ttaemun(때문)’ construction. In general, bound noun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dependence' and ’noun properties'. However, the bound noun ‘ttaemun(때문)' has a syntactic and semantic specific character.
A bound noun, unlike the free, cannot be used alone, and should be preceded by an ad-nominal form-ad-nominal form of a predicate, substantive, or demonstrative ad-nominal form, etc. ‘ttaemun(때문)’ is combined with the adnominal ending ‘-ㄴ’ but not often use. Since the preceding element of ‘ttaemun(때문)' is a noun or functions as a noun, the preceding element must include ‘Noun, Pronoun, -기, -ㄴ/은 것’. The reason why ‘ttaemun(때문)' overlaps with '- gi(기)’ is related to the time when ‘- gi ttaemune(기 때문에)' appeared. And I knew that '-gi' also had the meaning of 'cause' or 'reason'.
Next, the trailing component of ‘ttaemun(때문)' is '-e(에)' and '-e(에)' represents the meaning of 'cause'. Therefore, ‘ttaemun(때문) is combined with the preceding component ‘-gi(기)' and the following component ‘e(에)' to form a composition. ‘- gi ttaemune(- 기 때문에)’ is represents the ‘compactness’ of the combination and performs a grammatical function in the sentence. And the ‘- gi ttaemune(- 기 때문에)’ construction is the structure of ‘cause + result’. Therefore, ‘- gi ttaemune(-기 때문에)’ plays a connecting role in connecting sentences. It lost its role as a bound noun and ‘- gi ttaemune(-기 때문에)’ became as Connective Ending. Therefore, ‘- gi ttaemune(-기 때문에)’ is subject to syntactic restrictions. Other elements cannot be included inside ‘- gi ttaemune(-기 때문에)’, and it is subject to Mood Constraints, but not subject to tense restrictions.
Finally, ‘ttaemun(때문)' solidifies into ‘- gi ttaemune(-기 때문에)’ allowing the meaning of 'reason' or cause' to be strongly expressed. Recently, the ‘ttaemun’ construction appears at the front of a sentence and functions as a conjunction or at the end of the sentence it also functions as a final ending.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bound noun as a lead-lagration of ‘ttaemun(때문)'. Because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taemun(때문)’ so far,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study of the function of bound nouns.
목차
1. 서론
2. 의존명사 ‘때문’의 선·후행 성분
3. ‘-기 때문에’의 통사·의미적 기능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 부정적 편향을 나타내는 ‘-을까 말까 하다’ 구문
- 지명설화를 통해 본 향유자의 낙원의식 : 횡성군 하궁리를 중심으로
- <홍길동전>에 나타난 공간 이동의 전통과 신화적 해석 : 동명계 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復菴 李偰의 ≪福堂唱酬錄≫ 연구
- 김동명 시의 대속(代贖)적 주체와 사랑의 윤리학 :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왕시전> 속 남성 주인공의 개성적 면모와 그 의미
- 비체로서의 어머니와 김성동의 가족로망스 : 김성동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홍길동전>의 유쾌한 변용, 묵직한 메시지 : 웹툰 <공길동전>(2008)의 내용적 특징과 콘텐츠 가치
- 박인환의 미국 체험 시에 나타난 여행자의 정동(情動) 양상 연구
- 해방기 문예교육의 양상과 특징 : 계룡학숙(鷄龍學塾)의 <한글문예독본>을 중심으로
- 개체들의 공동체 : 한국문학과 진보
- 영어트랙 유학생의 한국어학습에 대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 : 어휘학습을 중심으로
- 텍스트의 재현과 작품의 현실화 : 이제하의 「풀밭 위의 식사」론
- 한국어 교재 개편에서 드러난 지명 어휘의 제시 양상과 제언 : ≪서울대 한국어≫(2012-15)와 ≪서울대 한국어+≫(2022-23)를 중심으로
- 동시 출현 단어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맥락 연구 동향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서포 김만중의 국문문학에 대한 인식과 창작 : 감동(感動)과 경계(警戒)로서의 문학
- 의존명사 ‘때문’ 구성의 통사·의미적 기능 :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제주 방언 아래아(ㆍ)의 변화 양상 : 20세기 방언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