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이용수 43

영문명
Housing conditions and self-ownership determinant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in Korea Focusing on employment type (regular/non-regular)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문영만(Youngman Moon) 이옥자(Okja L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535~55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계청의 ‘주거실태조사 원시자료(2022년)’를 이용하여 부울경지역의 고용형태별 주거실태 및 자가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울경 지역의 고용형태별 주거실태 분석결과 자가보유율은 경남(69.9%), 울산(68.9%), 부산(63.3%) 순으로 나타나 부산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형태별 자가보유율은 정규직(59.4%)이 비정규직(44.5%)보다 14.9%p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국을 대상으로 고용형태별 자가보유 결정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자가보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상태에서도 정규직의 자가보유율이 비정규직보다 2.0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른 독립변수의 추정계수는 소득이 높을수록, 가구주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산, 울산, 경남 각 지역의 자가보유율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정규직의 자가보유율이 비정규직보다 부산 2.8배, 울산 3.7배, 경남 2.8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른 독립변수의 추정계수는 세 지역 모두 균등화 경상소득, 가구주 연령, 가구주 학력, 가구원 수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가보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정규직의 주거지원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부울경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자가보유율이 낮은 부산의 자가 지원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가 자가보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원인은 고용불안에 따른 소득의 불안정성과 낮은 가구소득에 기인된 측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정규직의 자가 보유율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시적이고 일상적인 업무의 정규직 전환을 통한 고용안전성과 가계소득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공공분양주택및 분양전환 공공임대주택’의 확대와 주택 구입자금 저리대출 등을 통해 자가보유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using conditions and self-determination factors by employment type in the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using the ‘Housing Survey Raw Data (2022)’ from Statistics Kore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housing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 in the Busan, Ul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self-ownership rate was found to be Gyeongnam (69.9%), Ulsan (68.9%), and Busan (63.3%), with Busan being the lowest. The self-ownership rate by employment type was found to be 14.9% points higher for regular workers (59.4%) than for non-regular workers (44.5%). Second, as a result of a nationwide regressio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self-ownership by employment type, the self-ownership rate of regular workers was found to be 2.0 times higher than that of non-regular workers, even when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self-ownership.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the higher the income, the older the household head,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larger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ird,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terminants of the self-ownership rate in each region of Busan, Ulsan, and Gyeongnam, the self-ownership rate of regular workers was found to be 2.8 times higher in Busan, 3.7 times in Ulsan, and 2.8 times higher in Gyeongnam than that of non-regular workers.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other independent variables were estimat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equivalised current income, age of household head, education level of household head, an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n all three reg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housing support policies for non-regular workers in order to increase the self-ownership rat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자료 및 분석 방법
Ⅳ. 고용형태별 주거실태 및 자가 결정요인
Ⅴ. 결론 및 정책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영만(Youngman Moon),이옥자(Okja Lee). (2024).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 (3), 535-558

MLA

문영만(Youngman Moon),이옥자(Okja Lee). "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3(2024): 535-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