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이용수 39

영문명
Headhunting And Ancestral Worship Of Taiwan’s Indigenous People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문혜진(Heajin Mu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91~11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제가 대만, 조선 등지로 식민지를 확장함에 따라 식민통치 정당화 담론이 필요하였고, 이에 부응하여 동경제국대학 인류학자들 사이에서 혼합민족설이 제창되었다. 도리이 류조 또한 동경제국대학 인류학과 교수 쓰보이 쇼사부로에게 사사받으면서 “일본열도에 선주 아이누족에 이어 신석기시대 후기 대륙으로부터 퉁구스계의 민족이 도래하여 이들이 일본인의 선조의 중핵인 ‘고유일본인’이 되고, 그 후에 도래한 소수파의 인도네시안계, 인도지나계와 함께 일본인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혼합민족설을 주창하였다. 이러한 혼합민족설의 논거로서 도리이 류조는 동아시아 일반에 잔존하는 고신도(古神道)의 원류, 샤머니즘을 거론하며, 샤머니즘이라는 매개를 통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제민족을 동일 문화권으로 상정하며 고신도의 원류를 찾아 고유일본인의 계보를 형성시켜나갔다. 대만 할양 직후 도리이 류조는 대만으로 건너가 원주민들의 ‘머리사냥’ 풍속을 조사하였다. 대만 원주민들은 5년마다 조상제를 지내는데 이때 두개선반의 두개골을 제사지낸다. 또한 조상제의 전제에 머리를 상징하는 공을 하늘 높이 던져 떨어지는 것을 죽간으로 받는 풍습이 있는데, 이는 ‘공(머리)’이 풍요를 관장하는 신이나 조상이 강림하는 것을 상징하며 이것을 죽간으로 꿰어 받는 것 자체가 이들 신령 및 조상으로부터의 각종 행운을 취하는 종교적 행위를 의미하였다. 그래서 도리이 류조는 머리사냥을 대만 원주민들의 ‘조상숭배’로 보며, 이를 고신도의 조상숭배로까지 확대해석하였다. 즉, 머리사냥을 통한 조상숭배가 고유일본인을 형성한 인도네시안계통의 문화적 증거가 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도리이 류조가 고신도의 원류로서의 조사한 대만 원주민의 조상숭배를 ‘머리사냥’ 제의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언설이 대만 원주민 종교정책에 어떻게 실천되었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을 통한 조상숭배는 고유일본인을 형성한 인도네시아계의 조상숭배와 동일시되었으며, 이는 일제 고신도의 경신사상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는 언설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언설에 기초하여 미개한 원주민에 대한 총독부의 교화정책으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민족관습을 변화시키는 ‘갱생(更生)’이 추진되었고, 이는 신사를 중심으로 한 제전[풍년제]으로 원주민 최대 제전인 조상제를 대체하며 머리사냥과 함께 원주민 전통적인 풍습의 쇠퇴를 야기하였다.

영문 초록

As Japan expanded its colonies such as Taiwan, Joseon and etc., the discourse justifying colonial rule was needed; as a result, the theory of mixed race was advocated among anthropologists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Torii Ryuzo also advocated the theory of mixed race, saying, “The Ainu people firstly live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n the Tungus people arrived from continent to Japan in the late Neolithic; they became the 'archaic Japanese', the core of the Japanese ancestors. The minority of Indonesians and Indians later arrived marginal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As the basis for this mixed-ethnic theory, Torii Ryuzo mentioned that the origin of the ancient Shinto that remained in East Asia was shamanism; as the medium of shamanism, he assumed the cultures of the East Asian ethnic groups, including Korea were the same and formed a lineage of the native Japanese by finding the origin of the ancient Shinto. Shortly after ceding Taiwan, Torii Ryuzo traveled to Taiwan to investigate the 'head hunting' customs of indigenous people. Every five years, Taiwan indigenous people held ancestral rites, at that time the skulls on the shelve were served as ancestors. In addition, there was a custom of receiving a ball, which symbolized the head and was thrown high into the sky, through a bamboo spear during the premise of the ancestral ritual. It symbolizes the emergence of a god or ancestor who controls abundance, and piercing the ball with a bamboo spear is signified as a religious act of taking various good luck from these gods and ancestors. As a result, Torii Ryuzo regarded the head hunting as a “ancestor worship” of Taiwanese natives and identified it with the ancestral worship of Japanese Shinto. In other words, the ancestral worship through the head hunting serves as cultural evidence of the Indonesian people that formed some archaic Japane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with the Japanese ancient Shinto and ancestral worship of Taiwan indigenous people based on Torii Ryuzo’s ethnographies. And then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theory of mixed race using head hunting might influence on the Japanese government's religious policy toward Taiwan indigenous people.

목차

Ⅰ. 머리말
Ⅱ. 도리이 류조의 대만 조사와 ‘머리사냥’ 부족
Ⅲ. 머리사냥의 종교 의례적 목적과 조상숭배
Ⅳ. 대만 원주민에 대한 황민화 정책과 ‘머리사냥’의 쇠퇴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혜진(Heajin Mun). (2024).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 (3), 91-118

MLA

문혜진(Heajin Mun).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3(2024): 91-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