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45

영문명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Job Autonomy, Self Efficacy and Individual Creativity: Focused On Local Employees of Korean Firms in China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윤성환(Seonghwan Yoon)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483~51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최근 중국 현지의 급격한 경영환경 악화와 국내외 기업들 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악화된 현지 경영환경과 치열한 경쟁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국 진출 한국기업들은 현지에서의 경영성과 극대화 달성에 매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인적자원관리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중국 현지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에 미치는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에 기진출한 한국기업에 재직 중인 400명의 중국 현지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하여 설정한 제반 연구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체계적으로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밝혀진 사실들을 요약·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창의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은 자기효능감과 개인창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개인창의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코칭리더십과 개인창의성 간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단순 및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중 한국기업의 조직 운영관리자들에게 중국 현지에서의 성공적인 조직운영과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리더십 발휘와 관련한 시사점 몇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Korean firms that have entered China have recently entered a new phase due to the rapid deterioration of the business environment in China and fierce competition among domestic and foreign firms. In order to overcome this deteriorated local business environment and fierce competition, Korean firms entering China are focusing on maximizing business performance in the region, and to this end, they are showing great interest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in-depth the structural impact of coaching leadership on job autonomy, self efficacy and individual creativity for local employees of Korean firms entering China.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local Chinese employees working for Korean firms that had already entered China to collect survey data, and all research hypotheses set up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systematically verified. The results obtained by actu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autonomy and self efficacy, but has not effect on individual creativity. Second, job autonomy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efficacy and individual creativity, and self 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creativity.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dividual creativity, job autonomy and self efficacy were found to have simple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This study based on these findings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considering desirable leadership that organization administrators should pursue in the Korean firms doing business in Chin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의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성환(Seonghwan Yoon). (2024).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 (3), 483-515

MLA

윤성환(Seonghwan Yoon).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3(2024): 483-5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