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철학 관점에서 본 『천도소원』(天道溯原)연구: 그 도덕신학적 변증 고찰
이용수 52
- 영문명
- A Study on the Moral Theological Apologetics of W.A.P.Martin: Focusing on Evidences of Christianity(『天道溯原』)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설충수(Choongsoo Seol) 선병삼(Byeongsam Su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대 민남은 관우 신앙을 통하여, 정신적 위안을 얻었고 구성원의 단결과 공동체의 결속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수백 년을 훨씬 상회하는 오랜 세월 동안 면면히 이어져 온 관우 숭배 문화는 현재까지도 민남에서 유효하다.
그런데 개혁개방 이후 관우 신앙은 단순한 민간신앙이나 종교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선양하고 보전해야 할 전통문화의 범주로 포함되었다. 이는 관우 숭배 문화가 정치, 경제등 다양한 방면에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민남은 대만인을 비롯하여 화교·화인의 원적지여서, 그들과 문화적 동질성이 크다. 그리고 관우는 일평생 漢室復興 혹은 유비의 천하통일을 위해 분투하였다. 또 민남의 상당수 관제묘는 바다 건너에 자리하고 있는 수많은 관제묘의 祖廟이다. 이러한 요소로 보건대 민남 관우 숭배 문화는 경제·정치 외교적 측면에서 활용도가 상당하다. 이를 포착한 중국 정부는 개혁개방 이후 과거와 다른 인식으로 민남 관우 숭배를 바라보게 되었다. 전통문화로 범주화하여 종교·신앙적 색채를 약화한 뒤, 경제와 정치에 유익한 수단으로 재해석하였다. 정치·경제·문화·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 사회에서 민남의 관우 문화는 이전과 달리 인식되었고 또 과거와 구분되는 함의를 가지게 되었다.
민남 관우 문화를 현대적으로 활용한 실례인 海峽兩岸(福建東山)關帝文化旅遊節은 개혁개방 이후 관우 문화에 대한 재해석에 기반하여 진행되고 있다. 문화제는 종교 행사 외에도 음악과 미술 분야의 문화 행사, 무역 박람회나 투자설명회와 같은 경제 활동, 양안 단체의 교류 활동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근래에 와서는 문화제의 주제를 통하여 양안 통일을 노골적으로 강조하는 추세를 보인다.
영문 초록
W.A.P. Martin's Evidences of Christianity is a Christian apologetic book with an interest in how to root the gospel in East Asian culture. In particular, through the methods of natural theological apologetics, historical and literary apologetics, and revealed theological apologetics in East Asian culture built on reason and morality, it is asserted that Christianity is no longer a religion only for Westerners, but a religion for East Asians. through natural theological apologetics, it not only makes Asians aware of true God, which they did not know, but also presents the verifiability of Christian truth, the path of human nature's depravity, salvation, and virtue through biblical revelations. To this end, It uses terms of morality familiar to Asians to reveal the argument in the stages of moral transformation, recovery, and completion. especially, Evidences of Christianity unravels the apologetics of Christian truth through terms and concepts that are more familiar to East Asians, such as the theory of sin and salvation by God. and It also criticizes East Asian culture that hinders the understanding of real humans due to its rational optimism, and tries to make up for the lack of East Asian culture by understanding human nature by focusing on contradictions and essential finiteness revealed in more real humans. This can be said to be the way to clearly reveal the Christian truth in East Asian cultur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도덕의 기원으로서 인간 이해
Ⅲ. 도덕의 변괴(變壞): 죄론과 인간의 욕망
Ⅳ. 도덕의 회복: 구원
Ⅴ. 도덕의 완성: 성덕(聖德)의 길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쇼운입명기[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중국 사찰과 명·일간의 불교 교류
- 라프카디오 헌과 일본환상의 횡단: 종교환상 가로지르기
-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 종교철학 관점에서 본 『천도소원』(天道溯原)연구: 그 도덕신학적 변증 고찰
-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
- 임계적 공공성과 공공예술
- 지역 문학관의 대중친화적 콘텐츠 프로듀싱
- 동아시아 고해도(古海圖) 연구현황과 과제
- 무형유산으로서의 부산굿 전승 내력과 가치 확산
- 북서아프리카 해역의 한국 원양어업 연구: 한-스페인 어업 협정 체결을 중심으로
- 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 베트남 민화(民畫)에 관한 연구: 베트남 민화와 중국 연화(年畵) 간 형태상 유사성을 중심으로
- 「중국기독교교회규장」과 중국교회 법제화
- ノダ의 본질과 타당성 검증 - 関連性理論을 기저(基底)로
- 海域を越える宗教と文学−遠藤周作の『沈黙』と金恩国の『殉教者』に見られるキリスト教文学の文脈化について
- 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 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 온·오프라인 구전에 대한 소비자 민감도의 개념화 및 타당화
- 企业基因视角下乡村旅游景区管理模式演化机制研究 - 以云丘山景区为例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내기물에서 폐기물이 된 경계인: 정율성 사업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소고
- 놀이중심 학습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부진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교양수업 수강생의 세계시민성 변화
- 노인의 사회참여도와 삶의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고령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