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海域を越える宗教と文学−遠藤周作の『沈黙』と金恩国の『殉教者』に見られるキリスト教文学の文脈化について
이용수 86
- 영문명
- Rreligion and literature beyond the sea-Regarding the contextualization of Christian literature as seen in Shusaku Endo's “Silence” and Richard E. Kim's “The Martyred”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劉玲(Ling Liu) 尹一(Il Yoo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427~4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2차 세계대전 후, 유엔이 세계인권선언을 채택함에 따라 각국 국민은 헌법에 의해 종교 신앙의 자유를 보장 받게 되었다. 아시아에서는 기독교가 전혀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게 되었고, 각국의 종교 생활과 문화 속에서 꽃피우게 되었다. 그에 따라 기독교 문학도 전쟁 전과 비교하여 변모하였고, 많은 기독교 작가를 배출하여 본격적으로 기독교 사상을 가지고 실존의 근원적인 문제에 맞서게 되었다. 1970년대에 기독교 신학의 문맥화라는 개념의 제기는 서구의 “정통성”을 깨고 지역 신학의 주체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에 동조하는 전후의 기독교 문학은 전쟁 전과 비교하여 보다 주체성을 띠는 경향이 있다.
엔도 슈사쿠의 『침묵』과 김은국의 『순교자』는 전후, 존재론적인 각도에서 자국의 독특한 역사에 메스를 댄 기독교 문학의 대표작이다. 『순교자』는 1964년에 영어로 미국에 출판되었고, 『침묵』은 1966년에 일본어로 일본에 출판되었으나, 극한적인 생존 환경에서의 신 부재의 문제, 신에 대한 신앙에 흔들린 사람들의 심리와 행위를 그려내고, 목사의 자기 희생을 찬양하는 데서 일치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함께 성서와의 상호 텍스트성을 가지고 있으며, 십자가에 처형되기 전날 밤의 예수나, 욥기 등의 성서 이야기의 인용에 있어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야기의 패턴이 거의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의 테마는 다르다. 『침묵』은 주로 일본에서의 기독교의 토착화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순교자』는 목사와 군인의 휴머니즘적인 신앙을 논하고 있다.
두 작품이 다른 과제에 주목한 것은 작가의 개인 경험과 깊은 관련이 있지만, 역사적 요인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기독교 문학의 비교 연구를 통해 각 지역의 역사 문화의 이질성을 구별하는 또 하나의 시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문맥에서의 기독교 문화에 대한 재해석의 방식을 명확히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fter World War II, the adoption of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by the United Nations ensured that the freedom of religious belief was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s of various countries. Consequently, Christianity was no longer seen as a complete outsider in Asia and began to flourish within the religious lives and cultures of these nations. Along with this, Christian literature underwent a transformation from its pre-war state, producing many Christian writers who seriously confronted fundamental existential issues through Christian thought. The concept of contextualizing Christian theology, proposed in the 1970s, aimed to break the “orthodoxy” of the West and increase the autonomy of regional theologies. In line with this, post-war Christian literature showed a tendency to possess more subjectivity compared to pre-war literature.
Shusaku Endo's “Silence” and Richard E. Kim's “The Martyred” are representative works of post-war Christian literature that delve into their respective countries' unique histories from an existential perspective. “The Martyred” was published in English in America in 1964, and “Silence” was published in Japanese in Japan in 1966. Both works explore the problem of God's absence in extreme survival conditions and depict the psychology and actions of people swayed by their faith in God, celebrating the self-sacrifice of pastors. Additionally, both works share intertextuality with the Bible, drawing commonalities in their references to biblical stories such as Jesus on the night before his crucifixion and the Book of Job.
However, despite the similarities in their narrative patterns, the themes of the two works differ. “Silence” focuses primarily on the issue of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in Japan, while “The Martyred” discusses the humanistic faith of pastors and soldiers.
The differing focuses of the two works are deeply connected to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authors, but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factors cannot be ignored. Comparative studies of Christian literature can provide another perspective to discern the heterogeneity of historical cultures in different regions and clarify the ways in which Christian culture is reinterpreted in different contexts.
목차
Ⅰ. 緒論
Ⅱ. 構成要素の共通点
Ⅲ. テーマの相違点
Ⅳ. 結論
参考文献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쇼운입명기[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중국 사찰과 명·일간의 불교 교류
- 라프카디오 헌과 일본환상의 횡단: 종교환상 가로지르기
-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 종교철학 관점에서 본 『천도소원』(天道溯原)연구: 그 도덕신학적 변증 고찰
-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
- 임계적 공공성과 공공예술
- 지역 문학관의 대중친화적 콘텐츠 프로듀싱
- 동아시아 고해도(古海圖) 연구현황과 과제
- 무형유산으로서의 부산굿 전승 내력과 가치 확산
- 북서아프리카 해역의 한국 원양어업 연구: 한-스페인 어업 협정 체결을 중심으로
- 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 베트남 민화(民畫)에 관한 연구: 베트남 민화와 중국 연화(年畵) 간 형태상 유사성을 중심으로
- 「중국기독교교회규장」과 중국교회 법제화
- ノダ의 본질과 타당성 검증 - 関連性理論을 기저(基底)로
- 海域を越える宗教と文学−遠藤周作の『沈黙』と金恩国の『殉教者』に見られるキリスト教文学の文脈化について
- 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 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 온·오프라인 구전에 대한 소비자 민감도의 개념화 및 타당화
- 企业基因视角下乡村旅游景区管理模式演化机制研究 - 以云丘山景区为例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내기물에서 폐기물이 된 경계인: 정율성 사업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소고
- 놀이중심 학습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부진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교양수업 수강생의 세계시민성 변화
- 노인의 사회참여도와 삶의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고령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