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문학관의 대중친화적 콘텐츠 프로듀싱
이용수 57
- 영문명
- Producing public-friendly content for local literary museums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권유리야(Juria Kwo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315~34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콘텐츠가 세계시장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막강함에도 불구하고, 유독 지역 문학관의 문화적 다양성, 디지털과 글로벌 시대적 감각, 대중친화적인 콘텐츠는 빈약한 현실이다. 현재 지역의 문학관들은 대체로 향토색을 토대로 작가의 정체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일치시키는 구조를 가시화하는 것을 문학관의 주된 역할로 삼고 있다. 이는 자의적으로 작가와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로컬리즘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는 지역 문학관이 지역의 홍보관과 자료기록관 역할을 탈피하여 대중친화적인 콘텐츠 프로듀싱으로 교감과 환대의 연결점이 될 것을 제안한다.
‘발견된 지역과 로컬의 과잉 숭배’에서는 지역 문학관이 로컬에 대한 강박을 넘어, 대중친화적 콘텐츠 발굴로 방향을 전환해야 함을 다룬다. 행사가 아닌 문화, 프로그램이 아닌 향유의 콘텐츠로 접근 방식의 변화를 요청한다.
‘건축적 산책과 교감의 어메니티’에서는 지역 문학관의 콘텐츠가 지역 작가와 작품 중심에서 벗어나 교감의 플랫폼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지역이 아닌 사람, 이성이 아닌 공감, 고립이 아닌 주변과의 공존이라는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을 산책과 어메니티라는 개념으로 접근한다.
‘구체적 타자, 환대와 번역’에서는 지역 문학관이 도달해야 할 궁극의 지점을 다룬다. 초연결사회에서 지역 문학관은 독특한 서사와 맥락을 가진 구체적 타자들과 적극적으로 연결점을 만들기 위한 환대와 번역의 가치를 제시해야 한다.
이제 지역 문학관은 장소영역주의를 넘어 문화적 이동과 교류의 플랫폼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 지역 문학관이 자율적이고 상호관계 맺음과 문화 향유의 플랫폼으로 부상하게 되면 탈정치, 탈이념의 문화적 관계공동체의 형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immense influence of K-content in the global market, the cultural diversity, digital and global sensibilities, and audience-friendly content of local literary museums are relatively weak. Currently, local literary museums mainly focus on visualizing the identity of the writer and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approach inevitably faces criticism for arbitrarily constructing the identities of the writer and the local community. Local literary museums are confronting the limitations of localism.
This study proposes that local literary museums should move beyond their roles as promotional and archival institutions, and instead become platforms for empathy and hospitality through the curation of audience-friendly content.
‘Discovered Regions and the Overworshiping of the Local’: Local literary museums should go beyond their local obsession and focus on discovering audience-friendly content.
‘Architectural Strolling and the Amenity of Empathy’: The content of local literary museums should shift from being writer and work-centric to becoming platforms for empathy.
‘Specific Others, Hospitality, and Translation’: Local literary museums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should actively create connections with unique narratives and contexts, embodying the values of hospitality and translation.
Local literary museums should now move beyond place-based exclusivism and focus on becoming platforms for cultural mobility and exchange. If local literary museums can emerge as autonomous, mutually-related platforms for cultural enjoyment, they can foster the formation of a cultural community that transcends politics and ideology.
목차
Ⅰ. 서론
Ⅱ. 발견된 지역과 로컬의 과잉 숭배
Ⅲ. 건축적 산책과 교감의 어메니티
Ⅳ. 구체적 타자, 환대와 번역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쇼운입명기[笑雲入明記]』를 통해서 본 중국 사찰과 명·일간의 불교 교류
- 라프카디오 헌과 일본환상의 횡단: 종교환상 가로지르기
- 대만 원주민의 ‘머리사냥(Headhunting)’과 조상숭배: 도리이 류조[鳥居龍藏]의 민족지를 중심으로
- 종교철학 관점에서 본 『천도소원』(天道溯原)연구: 그 도덕신학적 변증 고찰
- 중국의 해양인식 변화와 해양교육에 관한 연구
- 임계적 공공성과 공공예술
- 지역 문학관의 대중친화적 콘텐츠 프로듀싱
- 동아시아 고해도(古海圖) 연구현황과 과제
- 무형유산으로서의 부산굿 전승 내력과 가치 확산
- 북서아프리카 해역의 한국 원양어업 연구: 한-스페인 어업 협정 체결을 중심으로
- 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 베트남 민화(民畫)에 관한 연구: 베트남 민화와 중국 연화(年畵) 간 형태상 유사성을 중심으로
- 「중국기독교교회규장」과 중국교회 법제화
- ノダ의 본질과 타당성 검증 - 関連性理論을 기저(基底)로
- 海域を越える宗教と文学−遠藤周作の『沈黙』と金恩国の『殉教者』に見られるキリスト教文学の文脈化について
- 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 부울경지역의 주거실태 및 자가보유율 결정요인 - 고용형태(정규직/비정규직)를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 직무자율성, 자기효능감 및 개인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재중 한국기업의 중국현지 근로자를 대상으로
- 온·오프라인 구전에 대한 소비자 민감도의 개념화 및 타당화
- 企业基因视角下乡村旅游景区管理模式演化机制研究 - 以云丘山景区为例
-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정책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중개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내기물에서 폐기물이 된 경계인: 정율성 사업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소고
- 놀이중심 학습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부진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 교양수업 수강생의 세계시민성 변화
- 노인의 사회참여도와 삶의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고령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정부조직에서 조직문화가 상사의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순환보직이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직기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상대적 박탈감, 이직의도, 그리고 분배공정성의 매개효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공무원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