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이용수 49

영문명
Transmission pattern of legends and the geographical·cultural features - Focusing on the legend of Gwangpo in the Sancheong, Hadong, and Namhae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이현주(Hyeonju L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279~31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남 서부에 나란히 자리한 산청, 하동, 남해 지역에서 전승되는 광포전설의 특징을 살피고 그것이 지역의 지리·문화적 환경과 어떤 상호관련성을 갖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세 지역 광포전설의 존재 양상을 확인하고 세 지역에서 두루 확인되면서 자료 수가 풍부한 유형을 논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표로 선정된 광포전설의 하위유형은 산 이동 전설과 장자 못 전설, 아기장수 전설, 오누이 힘내기 전설이다. 네 유형의 광포전설을 중심으로 세 지역 자료를 견주고 지역별 차이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각 지역 광포전설과 각 지역의 지리·문화적 특성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산청의 광포전설에 나타난 지역적 변이는 산간의 지형·지리적 특수성과 유교·양반 지향의 보수성이라는 산청의 지역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하동의 광포전설에 나타난 지역적 변이는 산지와 내륙, 도서로 구성된 다양한 지리환경적 특수성과 농경문화적 공동체성, 탈중세 지향성이라는 하동의 지역적 특성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남해의 광포전설에 나타난 지역적 변이는 해안·도서의 지리적 특수성과 어업전진기지로서의 특수성, 남성중심의 가부장성이라는 남해의 지역적 특성과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전설이 무엇을 반영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와 무엇이 전설을 그렇게 존재하도록 하였는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열쇠는 전설이 전승되는 지역의 지리, 문화의 특성을 주목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세 지역의 광포 전설에 주목하여 지역의 문화적 전통과 지역성을 살펴본 연구로서 경남학의 일부로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wangpo legend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s of Sancheong, Hadong, and Namhae, which are located side by side in western Gyeongsangnam-do, and to find out its interrelations with lo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For this, first, data of the three regions about moving mountain legend, eldest son pond legend, baby general legend, brother and sister’s power competition legend, among subtypes of Gwangpo legend, were compared to examine local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Then,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Gwangpo legend of each region and the geograph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local modification shown in Gwangpo legend of Sancheong is associated with the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peculiarities of its mountain region and the Sancheong’s regionality of conservatism oriented towards Confucianism and yangban, and that local modification shown in Gwangpo legend of Hadong is associated with various peculiarities of its geographical environment, which comprises mountains, inland areas and islands, and with Hadong’s regionality of agricultural culture community and orientation towards de-medievality. Local modification shown in Gwangpo legend of Namha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peculiarities of its coastal and insular areas, its peculiarity as a fishery forward base, and Namehae’s regionality of androcentric patriarchy. The key to solving the problem of what a legend reflects and the problem of what made a legend exist as such lies in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y and culture in a region where the legend has been handed down. This study examined the local cultural tradition and regionality of the three regions, paying attention to their Gwangpo legends, and it is deem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academically as part of Gyeongnam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산청·하동·남해 지역 광포전설의 전승 양상과 특징
Ⅲ. 전설과 지리·문화의 상관성, 그리고 지역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Hyeonju Lee). (2024).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 (3), 279-313

MLA

이현주(Hyeonju Lee). "경남 서부지역 전설의 전승양상과 지리·문화적 특성 연구 - 산청, 하동, 남해 지역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5.3(2024): 279-3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