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45

영문명
A Study on the Recent Trends of Chinese Locative Particle in China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은희(Eunhee Kim)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5권 제3호, 405~4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중국 내에서 이루어진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NKI에서 2000년 이후(2000년~2024년)의 논문 중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총 50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방위사의 최근 연구 동향, 방위사의 최근 연구 방법, 그리고 방위사의 최근 연구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방위사의 최근 연구 동향에서 키워드의 빈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은유>인지>의미>문화>교학> 영상도식>형태, 언어대비>어법화, 대칭과 비대칭, 통사, 함의’ 등의 순서를 보였다. 연도별로는 2022년 이후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다. 방위사의 유형과 음절수로는 ‘上, 下, 前, 后, 中, 左, 右, 东, 西, 南, 北’중 일음절인 上, 下, 前, 后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최근 연구 방법은 데이터 친화적으로 실험을 진행하거나 코퍼스, 실험데이터, 문장의 실시간 온라인 처리 조사 같은 실증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연구 내용은 인지 관점에서의 논문이 다수이고 ‘은유, 영상 도식, 신체 경험, 구문’과 관련한 연구로 발전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밖에 ‘방위사와 문화, 언어대비, 교학 책략, 번역, 밈(模因)’ 등에 관한 연구들도 많이 있다. 중국어 방위사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와 관련하여서는, 방위 의미 이해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공간 원형 및 영상 도식과 같은 인지이론을 기반으로 기존 실험 연구와 결합하여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교학 연구, 번역과 밈 등의 방위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Chinese locative particle in China. To conduct this study, I collected a total of 50 papers with a high number of downloads from CNKI after 2000(2000-2024). The analysis of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Chinese locative particle in China wa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II, it was divided into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the locative particle, the latest research method of the locative particle, and the latest research contents of the locative particle. In the latest research trends, the frequency of keywords in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locative particle was analyzed, and as a result, the order of 'metaphor>cognition>meaning>culture> teaching>image schema>linguistic form and language contrast>grammaticalization, symmetry(or asymmetry), syntax and implications' was shown. On a yearly basis, there has been a noticeable increase since 2022. In the type and syllable number of the locative particle, the frequency of 上, 下, 前, 后 among the one syllable of was the highest. Recent research methods are developing in empirical directions such as conducting experiments in a data-friendly way or investigating real-time online processing of Corpus, experimental data, and sentences. In recent research, there are many papers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and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related to 'metaphor, image schema, physical experience, and syntax' is developing. There are also many studies on 'locative particle and culture, language contrast, teaching strategies, translation, and memes. As for future tasks,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locative meanings in China. Therefore, it is argued that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existing experimental studies based on cognitive theories such as spatial prototypes and image schema, and that research on locative particle such as teaching research, translation, and memes should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동향 분석
Ⅲ. 향후 과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희(Eunhee Kim). (2024).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25 (3), 405-426

MLA

김은희(Eunhee Kim). "최근 중국 내 중국어 방위사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25.3(2024): 405-4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