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영화의 예도물(芸道もの)
이용수 4
- 영문명
- Performing Art in Japanese Films: Focussing on the Work by Director Mikio Narus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노은미(Eun-mi No)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3輯, 323~3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論文では、成瀬巳喜男監督の「芸道もの」映画『鶴八鶴次郎』(1938)、『歌行燈』(1943)、『芝居道』(1944)を中心に戦時期の芸道ものを総合的に考察していく。そのために、成瀬監督の芸道もので「芸」がどのように表象されているかを整理し、恋愛、犠牲、人間関係(上下関係)などの感情に訴える特徴の上位カテゴリーとなる「人情」という側面から分析していく。このように成瀬監督の芸道ものにおいて「芸」と「人情」がどのように機能しているのか、さらにこのような表象が戦時期の映画史的文脈とどのように関連しているのかを考えていく。 芸道ものというジャンルの映画は、映画と比べてすでに成熟した伝統芸能が背景になっているという点、また修行を通じて「芸」に精進するということが描かれる点から考えると、ある意味で政府が望む国民教養向上はもちろん、映画の質的向上を成し遂げるジャンルであったといえる。しかし、芸道ものは単に国策のために機能していたのではなく、戦時期に実際に観客が望むジャンルであった。このような状況の中、「芸」と「人情」を巧みに調和し表象する成瀬監督の芸道ものは、その他の映画作品とは異なる独特な世界を描き出すことができたといえる。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systematically analyse the performing-art films during wartime, focussing on Mikio Naruse’s work, Tsuruhachi and Tsurujiro (1938), The Song Lantern (1943) and The Way of Drama (1944). To this end, I analyse the notion of ‘art’ in Naruse’s performing-art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feelings’, a supercategory encompassing ‘love’, ‘sacrifice’, ‘human relation (subordinate relation)’, etc. In this way, I investigate how ‘art’ and ‘human feelings’ function in the director’s performing-art works and how these representations are related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films during wartime. In the genre of ‘performing-art’ films, the traditional arts, which have already matured compared to films, underlie them, and they describe the ways in which the characters devote themselves to ‘art’ through training. In these respects, in a sense, the genre can be conceived of as a genre that led to not only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ducation as desired by the government but also the qualitative advance of films. Still, the performing -art films not only functioned for the purpose of national policies but also served as the genre desired by the audience during wartime. In such situations, Naruse’s performing- art films, which skillfully integrate ‘art’ and ‘human feelings’ and represent them, create a unique world distinct from those described in other films.
목차
1. 들어가며
2. 장르로서의 예도물
3. 예도물의 시작
4. 예도물의 시대에 따른 변천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성찬(聖餐)』 연구
- 二重敬語「お休みになられる」の使用実態
- 「ナル」における韓国語·中国語との対照研究
-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한국어 대응연구
- 교양일본어 수업에서 수행 피드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西鶴の好色物浮世草子における混種語の考察
- 고전문학 낭독극『겐지모노가타리』고찰
- SNS 일본어의 「확장」 「심화」 「융합」 사례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이문화 수용
- 日本の小学校学習指導要領国語科における敬語指導の一考察
- 일제강점기『부산일보(釜山日報)』의 창원지역 기사 고찰
- 개화기 한남학당의 교육과 운영
- 근대 한일 어휘 대응 양상에 관한 일고찰
- 異類の嫁入物系譜における通笑作黄表紙と一九作合巻の相互関係について
- 일본 영화의 예도물(芸道もの)
- <스즈메의 문단속(すずめの戸締まり)>에 나타난 국토 의식
- 일본 초고령사회기의 고령자 자립 목표와 의지에 관한 고찰
- 長屋王家木簡의 식재료를 통해서 본 귀족의 영양상태
- 近代日本の海外教育事業に関する一考察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