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NS 일본어의 「확장」 「심화」 「융합」 사례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이문화 수용
이용수 4
- 영문명
- Language A Study on Korean Society’s Acceptance of Different Culture Based on the Expanding, Deepened, and Integrated Properties of Social Media Varieties of Japanese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이현정(Hyun-Jung Lee)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3輯, 135~1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では、SNSに現れる日本語の使用例と韓国語との接触様相を分析 し、韓国社会における異文化受容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その結果、SNSで使われる日本語には「拡張」「深化」「融合」という特徴が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主な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である。第一に、以前、韓国語では日本語名詞の借用が多かったが、SNSでは名詞だけでなく形容詞や動詞が使われたメッセージが多数存在した。さらに、単語レベルを超え文章レベルの日本語も使用されており、言葉の「拡張」が進んでい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ハッシュタグを利用して結果を共有し、それを検索するシステムによって、情報提供者はもちろん検索者の日本語能力や日本語を用いたソーシャルメディアリテラシーも大いに向上していることも分かった。第二に、「水産物」「酒類」「サブカルチャー」と関連する分野では、「深化」した日本語の使用様相が確認できた。第三に、SNSでは韓国語と日本語の結合を通じて、両言語の意味内容が融合する例も確認できた。形態的には、<並列型結合>と<融合一体型結合>に分けられるが、融合に伴って意味の変化が起こることもあった。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se the examples of Japanese expressions in social media and their contact with Korean expressions to examine Korean society’s acceptance of different cultures.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social media varieties of Japanese are characterised as ‘expansion’, ‘deepening’, and ‘integration’. The primary finding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Korean mainly borrowed Japanese nouns in the past, but in social media, not only nouns but also adjectives and verbs are borrowed. Also, Japanese expressions are used at a sentential or discourse level, rather than a word level. In this sense, a certain form of linguistic ‘expansion’ can be detected in the social media varieties of Japanese. Further, thanks to the hashtag-based system that allows the users to share results and to search for them, not only information providers but also searchers have greatly improved their social media literacy using their Japanese proficiency or Japanese expressions. Second, in the areas relating to ‘seafood’, ‘alcohol drink’, and ‘subculture’, a ‘deepened’ usage property of Japanese is observed. Finally, on social media platforms, semantic fus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expressions are observed in some cases. Morphologically, these cas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parallel combination’ type and the ‘integrated fusional combination’ type. In some examples, fusions led to meaning changes.
목차
1. 머리말
2.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3. 연구 목적 및 조사 방법
4. 분석 및 고찰
5. 맺은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성찬(聖餐)』 연구
- 二重敬語「お休みになられる」の使用実態
- 「ナル」における韓国語·中国語との対照研究
-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みたいだ·らしい」의 한국어 대응연구
- 교양일본어 수업에서 수행 피드백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西鶴の好色物浮世草子における混種語の考察
- 고전문학 낭독극『겐지모노가타리』고찰
- SNS 일본어의 「확장」 「심화」 「융합」 사례를 통해 본 한국사회의 이문화 수용
- 日本の小学校学習指導要領国語科における敬語指導の一考察
- 일제강점기『부산일보(釜山日報)』의 창원지역 기사 고찰
- 개화기 한남학당의 교육과 운영
- 근대 한일 어휘 대응 양상에 관한 일고찰
- 異類の嫁入物系譜における通笑作黄表紙と一九作合巻の相互関係について
- 일본 영화의 예도물(芸道もの)
- <스즈메의 문단속(すずめの戸締まり)>에 나타난 국토 의식
- 일본 초고령사회기의 고령자 자립 목표와 의지에 관한 고찰
- 長屋王家木簡의 식재료를 통해서 본 귀족의 영양상태
- 近代日本の海外教育事業に関する一考察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