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한일 어휘 대응 양상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1

영문명
A Study of Corresponding Patterns between Modern Korean and Japanese Vocabularies: Based on a Modern Word-Aligned Parallel Corpus
발행기관
일본어문학회
저자명
장원재(Won-Jae Chang)
간행물 정보
『일본어문학』第103輯, 159~17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本稿は近代日韓の語彙の相違点と類似点を探るための一連の研究の一つ であり、筆者が構築した単語レベルのパラレルコーパスを資料に日韓における語彙の対応類型の一面を探索的に考察したものである。本稿では日本語の2つ以上の形態素に韓国語の1形態素の対応に焦点を当てて対応類型について分析した。 まず韓国語に対応される日本語のa)2つ以上の形態素の対応には語(派生 語、複合語)レベルよりは句レベルの対応が多く、b)句レベルの対応には否定表現、連用修飾、連体修飾、目的語-述語関係の表現の順に多い。 次に韓国語のc)2字漢語に対応される表現には、特に連用修飾の‘副詞+動詞/形容詞’が多く、高い比率で同じ品詞構成のADV/ADAの漢語に、それから同じ漢字に表記として対応している。d)連体修飾表現には‘名詞+名詞’がNNの構造に、‘目的語-述語’の表現は中国語の統語構造にしたがってVNの構造の漢語に対応する。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the corresponding types of modern Korean and Japanese vocabulary based on a word-aligned parallel corpus, established by the present author, as part of a series of studies to observ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modern Korean and Japanese vocabulary. This article focused on and analyzed the corresponding types of single Korean words to Japanese phrases,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Japanese words corresponding the Korean ones, this study found that (a) there were more correspondences at the phrase level than at the word (derivative and compound words) level among the correspondences of two or more morphemes, and (b) the correspondences at the phrase level were in the order of negative expressions, infinitive-derived modifiers, adnominal modifiers, objectives, and predicates. Then, (c) there were many ‘adverb + verb/adjective’ infinitive-derived modifiers among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wo-syllabl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and a high percentage of them corresponded to ADV/ADA, the same part of speech, and the same Chinese characters, and (d) ‘noun + noun’ expressions corresponded to NN, while ‘objective + predicate’ expressions corresponded to VN in Chinese characters, consistent with the common language structure of Chinese.

목차

1. 시작하며
2. 문제 제기와 앞선 연구
3. 일본어의 구와 한국어의 한자어 대응과 분류
4. 복합어 및 파생어의 대응
5. 구의 대응
6. 마치며: 계열 비교 모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원재(Won-Jae Chang). (2023).근대 한일 어휘 대응 양상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문학, (), 159-176

MLA

장원재(Won-Jae Chang). "근대 한일 어휘 대응 양상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문학, (2023): 159-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