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양교육에서 AI 창작품을 활용한 융복합 시 교육 실제

이용수 21

영문명
Using AI creations in liberal arts education to teach convergence poetry in practice: Centered on the production of ‘video poetr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현정(Hyeon-jeong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517~55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I 및 뉴미디어를 통해 교양교육 학습자들의 새로운 읽기와 창의적 표현을 위한 탐구를 진행, 그 의의를 논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 학습자들이AI 시집 『시를 쓰는 이유』와 AI 시극 「파포스」을 접하게 한 이후, 위의 경험을 기반으로 뉴미디어 매체를 활용해 ‘영상시’를 창작하도록 기획하였다. AI 창작물을 통해 교양교육 학습자들은 AI를 활용한 작품에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공지능 창작품에 내재된 의미와 표현법을 분석함으로써 ‘나’를 탐색하는 계기로 자신의생각과 상상력을 ‘쓰기’로 이어갈 것이라고 가정한 까닭이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AI 창작품을 읽은 학습자가 이후 그 감상을 바탕으로 ‘나’와 관련된 시 텍스트를 창작하고, 뉴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영상시 기획서를 작성하고 수정하게 했다. 본고가 뉴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영상시 제작을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는 인공지능 시와 시극을 접하면서, 시적 텍스트에 나타난 이미지와 무대 공연 이미지를 이해했다. 하지만 학습자들이 수업의 내용을 바탕으로 당장에 교육 효능감을 획득할 수 있을만큼의 시 텍스트와 시극을 제작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영상을 접목한 새로운 창작법을 도입하였다. 그동안 학습자들은 SNS나 온라인을 통해영상 텍스트를 접할 기회가 많았다. 그렇기에 뉴미디어 매체를 활용하여 영상시를 제작한 교육 방법은, 기존의 문학적 ‘쓰기’에서 잠시 벗어나 스스로 성취감을 획득할 수있게끔 하는 현대 IT 시대 흐름에 맞춰 고안된 새로운 ‘쓰기’ 방법이다. 이 수업의 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 학습자들이 인공지능 창작품을 활용한 영상시 제작과 발표를 통해 감상지를 작성케 하였는데, 이들의 감상지를 분석해보면 우선 시나 시극에 흥미를 갖지 못했던 이전과 달리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나아가 학습자들은 동료 학습자의 내적 고민이 담긴 영상시를 함께 공유하며, 문학이라는 매체 및 장르에 대한 관심과 즐거움을 진지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교양교육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습자는 자기중심적인 시선에서 벗어나 타자의감정을 이해하고, 다른 이의 글과 영상을 통해 상호 존중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설계한 교육 과정은 다양한 전공의 학습자들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내적 ‘주체’와 ‘가치관’을 공감하고 소통하도록 설계된 방법이다. 다양한 전공의 학습자들이 함께 읽고, 쓰고,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보완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점은, 이미 도래한 미래사회에 대한 대응으로 창의적이고 융·복합적인 교육 이론과 분석을 넘어, 대학 교육의 수업으로 실현했다는 점에서 교양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argue the significance of using AI and new me dia to promote new reading and creative expression among liberal arts education learners. After exposing liberal arts education learners to the AI poetry book “Why Write Poetry” and the AI poetry drama “Papho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video poems” using new media based on the above experiences. This is because it is assumed that through AI creations, liberal arts education learners will approach works using AI with interest, and furthermore, they will continue to ‘write’ their thoughts and imagination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me’ by analyzing the mean ing and expression inherent in AI creatio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sked learners who read AI creations to create poetry texts based on their impressions and to write and revise video poetry plans using new media. We chose video poetry production using new media for the following reasons. The learners were exposed to A.I. poetry and poetry theater, and understood the im ages in poetic texts and stage performances.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enough poetry texts and poetry plays for learners to gain educational efficacy im mediately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las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a new creative method that incorporates video. Since learners have had many opportuni ties to encounter video texts through social media and online, the teaching method of creating video poems using new media is a new writing method designed in line with the modern IT era that allows learners to take a break from traditional literary writing and gain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class In this study, liberal arts education learn-ers were asked to write an essay through the production and presentation of video poems using A.I. creations, and analyzing their essays, many changes occurred, unlike before when they were not interested in poetry or poetry plays. Furthermore, the learners were able to share the video poems with their fellow learners’ inner concerns, and sincerely acquire interest and enjoyment in the medium and genre of literature. Ultimately, through the above liberal arts education, learners were able to break away from their self-centered perspective, understand the feelings of others, and develop a mutual respectful attitude through other people’s writings and videos. The educational process designed in this study is a method designed to empa thiz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s inner ‘subjectr’ and ‘valuesr’ despite the fact that the learners are from various majors. In particular, what is expected from this study is that it can help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by realizing creative, fusion and convergent educational theories and analyses in response to the future society that has already arrived, and realizing them in university education classes.

목차

1. 서론
2. 교양대학에서 AI 창작품을 활용한 융복합 교육
3. ‘영상시’ 창작과 융복합 시 교육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정(Hyeon-jeong Lee). (2024).교양교육에서 AI 창작품을 활용한 융복합 시 교육 실제. 리터러시 연구, 15 (2), 517-558

MLA

이현정(Hyeon-jeong Lee). "교양교육에서 AI 창작품을 활용한 융복합 시 교육 실제." 리터러시 연구, 15.2(2024): 517-5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