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지필평가 출제 과정에서 느끼는 국어 교사의 실천적 어려움 탐색

이용수 10

영문명
Practical Challeng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Paper-and-Pencil Testing: Focusing on a high school reading multiple-choice assessment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장성민(Sungmin Cha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209~24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의 경험 기술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학교 지필평가 출제 과정에서 느끼는 실천적 어려움을 탐색하였다. 지필평가 출제 과정을 교사 개개인에 의한 문항 개별 설계, 설계된 문항에 대한 (공동) 검토, 완료된 문항에 대한 승인의 세 단계로 나누어 연역적, 귀납적 절차를 혼합적으로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교사 개개인에 의한 문항 개별 설계 단계에서는 ‘참신한 문항 구성의 어려움, 평범하고 단순한 문항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수능형 문항 형식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복수답·오답 시비에 대한 우려’ 등이, 설계된 문항에 대한 (공동) 검토 단계에서는 ‘문항 수정의 완결성 유지의 어려움, 좋은 문항에 대한 인식의 다양성, 문항에 대한 주인의식의 약화, 검토 의견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폐쇄적 태도, 수정된 문항에 대한 재지적의 심리적 부담, 초점이 되는 출제 원칙의 변동, 새로운 평가 제도나 정책 도입에대한 고려’ 등이, 완료된 문항에 대한 승인 단계에서는 ‘뒤늦은 문항 교체에 따른 오류가능성 증가, 의사결정 권한이 있는 소수의 판단에 대한 불만, 새로운 사회적 이슈의발생으로 인한 문항 교체 위험’ 등이 주요 어려움으로 꼽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lves into the practical obstacles experienced by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paper-and-pencil testing, specifically focus ing on a content analysis of their reflective essays. Analyzing the paper-and-pencil testing process entailed a mix of deductive and inductive methodologies, divided into three stages: (a) individual item creation by teachers, (b) (joint) review of the de signed items, and (c) approval of the completed item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ifficulties in crafting original items; psychological resistance toward plain and simple items; psychological resistance toward college entrance exam-ori ented items; concerns regarding multiple and incorrect answers; difficulties with revising items in terms of ensuring completeness; diversity interpretations of what constitutes effective items; weakened sense of ownership over items; reluctance to accept others' feedback; burden of reiterating revised items; shifts in the focus of test design; consideration given to introducing new assessment systems or policies; increased possibility of errors due to late item replacements; dissatisfaction wi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ten involving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poten tial for item replacement due to the emergence of new social issu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성민(Sungmin Chang). (2024).학교 지필평가 출제 과정에서 느끼는 국어 교사의 실천적 어려움 탐색. 리터러시 연구, 15 (2), 209-245

MLA

장성민(Sungmin Chang). "학교 지필평가 출제 과정에서 느끼는 국어 교사의 실천적 어려움 탐색." 리터러시 연구, 15.2(2024): 209-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