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장소설의 특성에 관한 고찰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Novels: A Focus on Spatial Subjectivity and the Political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수지(Suji Kim) 김서율(Seoyul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459~48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랑시에르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성장소설의 장르적 특성이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적 특수성에 기인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한국 성장소설의 정치성을 소설의 배경이되는 사회의 질서를 가시화하는 드러내기의 정치성으로 명명할 수 있다. 한국의 근대화는 식민지, 전쟁, 분단이라는 역사적 상황을 연달아 겪음으로써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어 온 과정이다. 한반도의 정치 지형에 내재된 부조리한 사회 질서는 그 안에서 살아가는 개인이 공간 주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욕망을 저해하고 박탈하는 요인으로작용한다. 공간 주체성을 상실한 성장소설의 주인공은 수세적이고 타협적인 성장 과정, 소시민적 삶의 모습을 보인다. 시대의 폭력은 개인이 스스로를 소시민으로 명명하게 한다. 성장소설에서 인물이 자신의 정체성을 방어적으로 규정하는 것은 부조리한사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현실을 인식한 개인의 대안이 없는 선택인 것이다. 주인공이 보여주는 타협적인 성장 과정, 소시민적 삶의 모습 등을 통해 성장소설은 당대 사회에 내재한, 은폐된 부조리함을 고발하는 기능을 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Ranciere’s discussi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Korean growth novels were attributed to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e politics of Korean growth novels can be noted as the politics of revealing the order of society, which forms the background of the novel. Korea’s modernization is a process in which political turmoil has continued through a series of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colonization, war, and division. The absurd social order inherent in the Korean Peninsula’s political landscape acts as a factor that hinders and deprives individuals of their desire to acquire spatial subjectivity. The protagonist of the growth novel, who has lost their spatial subjectivity, display a defensive and compromised growth process and a small citizen’s life. The violence of the times allows individuals to name themselves as minor citizens. In the growth novel, a character's defensive definition of their identity is a choice without an al ternative made by an individual who recognizes the reality that they cannot escape from an absurd society. Through the compromised growth process exhibited by the protagonist and the appearance of a small citizen’s life, the growth novel functions to accuse the hidden absurdity inherent in the society of the time.

목차

1. 서론
2. 한국 성장소설의 특성
3. 한국 성장소설의 정치성 분석: 김원일, <노을>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지(Suji Kim),김서율(Seoyul Kim). (2024).성장소설의 특성에 관한 고찰. 리터러시 연구, 15 (2), 459-485

MLA

김수지(Suji Kim),김서율(Seoyul Kim). "성장소설의 특성에 관한 고찰." 리터러시 연구, 15.2(2024): 459-4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