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외의 문해력 이슈와 그에 대한 대응 및 지원 사례 연구

이용수 188

영문명
A Study on Literacy Issues at Home and Abroad and Their Response and Support Cases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연정(Yeonjeong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319~34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캐나다의 문해력 관련 이슈와 그에 대한 국가적 정책적 지원 및 대응 방안을 살핌으로써 문해력 현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3년 여의 코로나 팬데믹 기간을 지나면서 공교육의 공백은 커졌고, 기초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지구촌 곳곳에서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이에 미국에서는 영어 사용 능력에 제한이 있는 이민자들을 위한 집중 지원 전략을 마련하고있으며 일본에서는 개별·협력 학습, 빅데이터 활용, 기초 문해력과 수학적 사고력의정착, 정보 기술 활용 능력, 문리 융합 등의 정책에 힘쓰고 있다. 독일에서는 부모가유아에게 책 읽어 주기 활동인 레제스타트 프로그램을 전개함으로써 문해력의 초석을 다지고 있다. 프랑스의 경우, 국어 학습 시간을 늘리고 독서 시간을 필수로 지정하는 등 문해력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캐나다는 전 주에서 확장된 디지털 문해력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 주요 국가들의 문해력 대응 방안의 고찰을 통해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문해력 대응 방안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마련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pending literacy issues by examining issues related to literacy in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France, Canada, and Korea, as well as national policy support and countermeasures. As the pandemic progressed, the gap in public education grew, and concerns over the decline in basic education began to grow. In the United States, we are preparing an intensive support strategy for immigrants with limited English use. In Japan, we are striving for policies such as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the use of big data, the development of basic literacy and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terary convergence. In Germany, parents lay the foundation for literacy by conducting activities to read books to young children. France is expanding literacy education by increasing the number of hours spent learning Korean and making reading hours mandatory. By considering literacy countermeasures in these major countries,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for domestic literacy countermeasures can be draw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국내의 문해력 이슈와 대응 및 지원 사례
4. 해외의 문해력 이슈와 대응 및 지원 사례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정(Yeonjeong Lee). (2024).국내외의 문해력 이슈와 그에 대한 대응 및 지원 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 (2), 319-343

MLA

이연정(Yeonjeong Lee). "국내외의 문해력 이슈와 그에 대한 대응 및 지원 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2(2024): 319-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