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실용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모색

이용수 17

영문명
Evaluation and New Strategies for University General Writing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김윤경(Yunkyung Ki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127~14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A대학교의 글쓰기 교과목 중 실용글쓰기의 운영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실용글쓰기 교육의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고, 변화하는 글쓰기 환경에서 대학글쓰기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글쓰기의 일반적인 목적과 마찬가지로 A대학교의 실용글쓰기 강좌는 비판적이고 논리적 사유의 함양으로 인문학적 지식과 소양을 갖춘 성숙한 교양인의 양성에있다. 또한 다양한 글쓰기 표현력을 익힘으로써 구체적인 목적과 독자설정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각의 글쓰기 과목은 장르 글쓰기를 기준으로 세부적인 목표를 추가로 설정하여 학습자가 글쓰기 실습과 발표·토론, 강의를통해서 학습목표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A대학교의 글쓰기 교육의 성과와 전망은 다음의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장르 글쓰기에 기반 한 교과목 운영은 글쓰기의 목적과 유형에 따라 심층적이고 전문적인 글쓰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특정 장르의 글쓰기를 집중해서 다루기 때문에 PBL, 플립러닝 등 학습자 중심의 혁신교수법을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둘째, 디지털미디어의 확대와 온라인 글쓰기의 보편화, 문서의 작성·편집 도구와멀티프레젠테이션 도구의 개발은 다양한 글쓰기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면서 대학글쓰기의 대상과 범주를 확장시켰다. 정리하자면, A대학교의 장르기반 글쓰기 교과목의 전문성을 강화하되 현재보다 다양한 영역의 글쓰기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변화와 행정적 변화가 요청되며, 변화한 글쓰기 환경 변화에 발맞춘 융합글쓰기 개발을 통해 디지털미디어 환경의 글쓰기와 전통적 글쓰기의 가치를 종합하여 추구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writing educa tion at A University by presenting the operational cases of academic foundational writing, practical writing, and self-expression writing courses at University A, and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a changing writing environment. The achievements and prospects of writing education at University A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operating courses based on genre writing is advantageous for applying learner-centered innovative teaching methods such as PBL and flipped learning. Second, the expansion of digital media and the universalization of online writing,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document creation and editing tools and multi-presentation tools, have made various writing practices possible, expanding the target and scope of university writing. In conclu sion,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genre-based writing courses at University A requires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administrative changes to enable a more diverse range of writing educ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ursue integrated writing development that aligns with the changes in the writing environment by combining the values of digital media writing and traditional writing.

목차

1. 서론
2. 실용글쓰기 강의 운영 사례 분석
3. 교육의 성과와 한계
4. 결론을 대신하여 : 전망과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경(Yunkyung Kim). (2024).대학 실용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모색. 리터러시 연구, 15 (2), 127-148

MLA

김윤경(Yunkyung Kim). "대학 실용글쓰기 교육의 방향성 모색." 리터러시 연구, 15.2(2024): 127-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