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I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verification of Measurement tool for AI literacy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황현정(Hyeonjeong Hwang) 황용석(Yongsuk Hwang) 박지수(Jisoo Park) 신민호(Minho Shin) 이현종(Hyeonjong Lee)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247~27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AI가 발전하면서 ‘AI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과 역량 강화가 사회적으로 요구되고있지만, 국내 인공지능 사용자의 AI 리터러시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척도는 미비한 상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환경에 보다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리터러시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국내외 AI 리터러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해 AI 리터러시의 차원을 구분하고 문항을 개발했다. 이후,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베이를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통해 타당도를 검증했다.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바탕으로 처음 선행연구에 기초해 설정했던 AI 리터러시 요인과 요인별 세부 문항에 일부 수정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AI 리터러시의 하위 구성요소가 5개의 요인(AI 식별, AI 이해, AI 사용, AI 응용, AI 창조)으로 확인되었으며, 각 요인별로 적합한 세부 문항으로 18개 문항을 도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앞으로 더욱 보편화될 인공지능 사용에 대해리터러시 수준을 진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되는 한편, 법제도적 정책적 기반자료로써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Social demands for the education and competency empowerment of ‘AI literacy’ are required as AI has been developing.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to evaluate the AI literacy of Domestic AI user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ity and reliability Scale of AI Literacy for domestic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rinciples related to AI literacy and developed the AI literacy dimensions and questionnaires. Second, this study con ducted a survey on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ied reliability through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through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stly, the study refined the AI literacy factors and measurement model. As a result, there have been founded five sub elements of AI literacy: AI iden tification, AI understanding, AI usage, AI application and AI creation, and 18 spe cific ques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can be expected to serve as an objective assessment for Al literacy usage and foundational resource for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목차

1. 서론
2. AI 리터러시 개념과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동향
3. AI 리터러시 척도에 대한 연구
4. 연구방법
5. AI 리터러시 척도 개발
6. 함의와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현정(Hyeonjeong Hwang),황용석(Yongsuk Hwang),박지수(Jisoo Park),신민호(Minho Shin),이현종(Hyeonjong Lee). (2024).AI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 (2), 247-278

MLA

황현정(Hyeonjeong Hwang),황용석(Yongsuk Hwang),박지수(Jisoo Park),신민호(Minho Shin),이현종(Hyeonjong Lee). "AI 리터러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2(2024): 247-2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