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자매체 구술성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Case Study on University Lessons Using Orality of Electronic Media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한양하(Yang-ha Han)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2호, 13~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사례에서 전자매체 활용의 효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칼럼 쓰기의 전(全)과정에서 전자매체 활용의 효율성을 검토해 보았다. 연구 대상은 2022년 2학기 경남 지역에 위치한 A대학에서 <글쓰기> 수업을 진행한 두 개 반의 설문, 한 개 반의 글쓰기 결과물이다. 전자매체의 구술성은 2차적 구술성이라고 볼 수 있으며, 상호소통성과 매개성으로대표된다. 종이매체는 글쓰기 수업 과정을 분절하지만 전자매체의 활용은 비매개와하이퍼매개를 통해 연속성을 가지게 하여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수업 사례는 글쓰기의 전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칼럼쓰기를 들었다. 칼럼 쓰기의수업 설계에서 연관 수업과 본 수업, 발표 수업과 평가로 나누어 계획하였다. 수업 사례는 본 수업에서 9주차 자료모 으기와 10주차 칼럼 개요표 구성에서 전자매체 활용을 살펴보았다. 자료모으기에서 논문, 저서, 인터넷 자료 찾기, 주석 표기 방식의 실습, 참고문헌 정리를 할 수 있었으며, 개요구성을 한 후 즉각적인 피드백이 진행되었다. 수업평가는 수업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의 평가,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전자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효율적인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교수자는 전자매체를 활용하여 세 번의 피드백, 글쓰기 실습 등으로 학습 목표의 ‘상’ 수준에 이른 학생들이많았고, 학생들은 전자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구상하기에 거부감이 없었으며, 편집의용이성, 글쓰기 속도의 빠름, 자기 첨삭의 수월성 등에서 효율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피드백의 가독성, 프로그램 사용법은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 보았다. 대학 교육에서 전자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이 안정화되기 위해 교육 기재자 마련, 교육 내용의 변화, 수정이 시급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lectronic media use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i ciency of using electronic media throughout the entire column writing proces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survey results of two classes and the writing results of one class conducted in the class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Gyeo ngnam reg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The orality of electronic media can be viewed as secondary orality and is repre sented by intercommunication and mediation. Paper media fragments the writing class process, but the use of electronic media provides continuity through non-me diation and hyper-mediation, allowing it to proceed efficiently. The class example was column writing, which allows you to carry out the entire writing process. In the column writing class design, it was planned to be divided into related classes, main classes, presentation classes, and evaluation. In this class, we looked at the use of electronic media in collecting data for the 9th week and constructing a column summary table for the 10th week. In collecting data, we were able to find papers, books, and internet resources, practice annotation meth ods, and organize references. After constructing an outline, immediate feedback was provided. The class evaluation examined the efficient aspects of writing classes using elec tronic media through the instructor’s evaluation of class results and student surveys. The instructor said that many students reached the ‘above’ level of learning goals through three rounds of feedback and writing practice using electronic media, and students had no objection to writing and planning using electronic media, and the ease of editing and writing. It was considered efficient in terms of speed and ease of self-editing. However, the readability of the feedback and how to use the program were viewed as areas that needed improvement. In order to stabilize writing classes using electronic media in university educa tion, it is urgent to prepare educational technicians and change and revise educa tional content.

목차

1. 서론
2. 전자매체의 구술성과 글쓰기의 연관성
3. 전자매체 활용 글쓰기 수업 사례
4. 전자매체 글쓰기의 효율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양하(Yang-ha Han). (2024).전자매체 구술성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 (2), 13-41

MLA

한양하(Yang-ha Han). "전자매체 구술성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2(2024): 1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