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이용수 99
- 영문명
- A Case Study on Non-face-to-face Self-Reflective Wri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한주희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4輯, 583~6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팬데믹 이후 대학의 글쓰기 교육 방향성과 과제에 대해 논하고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급변하는 교육 현장에서 ‘성찰’과 ‘글쓰기’를 연계하기란 쉽지 않다. 이에 학습자의 주체성을 키우고, 구성원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는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글쓰기 과정은 <1. 계획하기>, <2. 집필하기>, <3. 퇴고하기>이다. <1. 계획하기>에서는 영상 매체로 학습을 진행하였다. 모둠활동은 ZOOM의 소회의실과 사이버캠퍼스를 활용했다. 모둠활동에서 학습자끼리 대화와 협조를 하거나 사이버캠퍼스에서 댓글 쓰기를 진행했다. 이것은 글쓰기의 '조정과 재구성'을 가능하게 했다. <2. 집필하기>에서는 5단락 글쓰기를 진행하였고, 피드백으로 완성된 개요를 적용하여 작성하게 했다. <3. 퇴고하기>에서도 ZOOM 소회의실을 활성화하여 글에 대한 감상평을 나누었다. 교수자가 제시한 글쓰기 체크리스트에 기반한 피드백 시간을 가졌는데 이 과정을 통해 나를 표현하고, 타인의 글에 공감하는 체험을 했다. 글의 주제 의식과 형식적인 부분에 대한 수정·보완도 했다.
이 연구는 신입생들을 위한 주체성 회복과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자기 성찰적 글쓰기'로 답하였다.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자기 이해, 세계에 대한 관심을 기반으로 한 글쓰기는 인문학적인 교양 정신을 회복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 모형과 사례는 학습자의 글쓰기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다. 또, 글쓰기 교육이 지닌 본연의 가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direction and task of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after the pandemic. And it argues that 'self-reflective writing' is necessary. It is difficult to ask college freshmen to reflect and write in a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field.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learner's subjectivity and activate the interaction of members, a process-oriented 'self-reflective writing' is presented. A step-by-step writing instructional plan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non-face-to-face group activities were proposed. It is designed to improve the thinking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necessary for writing.
The writing process is <1. Planning>, <2. Writing>, <3. Returning>. <1. Planning> conducted learning through video media. The group activity was conducted as a non-face-to-face lecture. ZOOM's small conference room and cyber campus were used. In group activities, learners talked and cooperated. Students also wrote comments on cybercampus. This enabled 'adjustment and reconstruction' of writing. In <2. Writing>, five paragraphs of writing were conducted. The feedback applied the completed outline.
<3. Returning> also activated the ZOOM small meeting room to share reviews on the writing. We had a feedback time based on the writing checklist presented by the instructor. Through this process, I experienced expressing myself and empathizing with other people's writings. It also revised or supplemented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formalities of the article.
This study answered the need for self-reliance and interaction for freshmen with 'self-reflective writing'. Writing based on self-understanding of “who I am” and interest in the worl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the humanities' liberal arts spirit. The 'self-reflective writing' instructional model and case of this study can restore the learner's writing subjectivity.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original value of writing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대학 글쓰기 교육과 자기 성찰적 글쓰기
3.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수업 방안과 실제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어문연구』 60년의 발전사
-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2)
-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