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이용수 41

영문명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nd Thai Correspondence Expressions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씨나롯 낫타완 이금영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4輯, 63~8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 ‘-면, -거든, -어야’와 태국어 대응 표현을 대조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한국어의 ‘-면, -거든, -어야’와 태국어 조건 접속사의 통사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 대조 분석을 시도하였다. 한국어 조건 관계의 연결어미는 기본적으로 태국어 조건 접속사와 같이 선행절 내용이 후행절 내용의 실현에 대한 조건이 되도록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는 ‘-면, -거든, -어야’의 형태로 쓰이며 서로 교체되어 쓰이기도 하지만, 통사적 제약이나 세부적인 의미 특성에 차이가 있다. 즉, 한국어 ‘-면’은 ‘분명한 사실의 조건, 불확실하거나 아직 이루어지지 아니한 사실의 가정, 현실과 다른 상황의 가정, 뒤의 내용에 대한 근거’의 의미를, ‘-거든’은 ‘분명한 사실의 조건, 뒤 절의 내용이 당연한 사실임을 나타내는 조건, 실현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의 의미를, ‘-어야’는 ‘필수적인 조건, 아무리 가정하여도 소용이 없음’을 나타내는 의미 특성의 차이를 가지며 후행절 서법 제약이나 주어 제약 등의 통사적 제약에서 차이를 보인다. 반면에 태국어 조건 접속사는 ‘ถ้า(tha), ถ้าหาก(thahak), ถ้าหากว่า(thahakwa), หาก(hak),หากว่า(hakwa), ถ้าเผื่อ(thaphue), ถ้าเผื่อว่า(thaphueawa),ถ้าแม้น(thamaen), ถ้าแม้นว่า(thamaewa), ถ้า...ก็(tha...geo)' 등의 여러 형태가 쓰이기는 하지만 통사적, 의미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서로 교체되어 쓰이며 대표형으로 ‘ถ้า(tha)’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태국어 조건 접속사는 거의 통사적 제약이 나타나지 않으며,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 ‘-면’과 ‘-거든’이 나타내는 다양한 의미에 모두 대응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어야’가 나타내는 ‘필수적인 조건’과 ‘아무리 가정하여도 소용이 없음’의 의미에 대해서는 태국어 조건 접속사가 사용되지 못하고, 각각 ‘반드시 ~해야 하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 ‘ต้อง(tong)’과, 양보 접속사 ‘ถึงแม้ว่า(teungmaewaa)’ 또는 ‘ถึงแม้ว่า...ก็(teungmae waa...geo)’에 대응하는 차이를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myeon, -geodeun, -eoya' and Thai correspondence expressions. In this work, we examin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aforementioned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and Thai conditional conjunctions. Similarly to Thai conditional conjunctions,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myeon, -geodeun, -eoya' are placed together with conditions in the antecedent clause,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clause. However, the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preceding clause, while Thai conditional conjunctions are placed either before or after the preceding clause, or both before and after the preceding clause.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yntactic constraints and detaile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contrast, Thai conditional conjunctions ‘ถ้า(tha), ถ้าหาก(thahak),ถ้าหากว่า(thahakwa),หาก(hak),หากว่า(hakwa),ถ้าเผื่อ(thaphue),ถ้าเผื่อว่า(thaphueawa),ถ้าแม้น(thamaen),ถ้าแม้นว่า(thamaewa), ถ้า...ก็(tha...geo)'can be used in any of the forms interchangeably and there is no syntactic or semantic difference. Also, they do not show syntactic constraints such as subject constraint. The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have various detaile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myeon' is suggested to mean one of the following: (i) the conditions of a clear fact, (ii) the assumptions of uncertain or unfulfilled facts, (iii) the assumption of a different situation from reality (iv) the rationale for the following content. Meanwhile, ‘-geodeun' means (i) the conditions of a clear fact, (ii) the conditions that indicate natural facts for the following content, (iii) the condition likely to be realized. At last, ‘-eoya' is commonly used for ‘essential conditions' or ‘conditions which are useless to assume'. According to the Thai dictionary and Tatvalai(2001), the meaning of ‘ถ้า(tha)'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common form is ‘conditions, assumptions, conjectures, expectations, possibilities, and concessions'. However, as we explain in Chapter 4, Thai conditional conjunction ‘ถ้า...ก็(tha...geo)'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Korean conditional connective endings ‘-myeon' and ‘-geodeun', but does not have the same meaning as ‘-eoya'. If the preceding clause represents a simple condition, the conditional conjunction ‘ถ้า(tha)' can be used but the auxiliary verb ‘ต้อง(tong)' should be used to indicate ‘essential conditions'. Additionally, in the case of indicating the meaning of ‘useless to assume',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Thai conditional conjunction, but to the concessional conjunction ‘ถึงแม้ว่า(teungmaewaa)’ or ‘ถึงแม้ว่า...ก็(teungmaewaa...geo)’.

목차

1. 머리말
2.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 ‘-면, -거든, -어야’
3. 태국어 조건 접속사
4.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조건 접속사의 대조 분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씨나롯 낫타완,이금영. (2022).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어문연구, (), 63-88

MLA

씨나롯 낫타완,이금영.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어문연구, (2022): 63-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