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이용수 34
- 영문명
- Onggojipjeon's otherization technique and establishment of character's identity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이윤희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4輯, 273~29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옹고집전>의 타자화의 서사기법적인 가치를 살피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이를 위해 <옹고집전>의 타자화의 배경을 살피고, 타자화의 체험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분석한 후 타자화 서사 기법의 문학적 가치를 짚어 보았다.
첫째, 타자화의 배경을 타자화의 동인, 타자화의 과정, 타자화의 결과로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옹고집전>에 나타나는 옹고집의 행위는 타자화 동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가정과 사회로부터 배척당함으로써 타자화 과정을 겪게 된다. 이 타자화 과정은 기존의 정체성을 부정당함으로써 옹고집을 시정하는 장치로 볼 수 있다.
둘째, 옹고집의 타자화되기 체험을 통해 정체성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작중인물의 타자화 되기는 일부 다른 판소리계 소설에서도 부분적으로 나타나지만, 그중에서도 <옹고집전>은 타자화에 대한 과정을 치밀하게 다루고 있다. 이에 타자화를 겪은 옹고집이 새로운 정체성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전통적인 윤리관 확립, 올바른 경제관 정립, 객관적인 종교관 수립의 측면으로 나누어 확인하였다.
셋째, <옹고집전>에 나타나는 타자화의 서사기법 측면에서의 그 가치를 검토하였다. 타자화의 서사기법은 풍자 의식을 제고하고, 수용층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에 유용하다. 기득권층인 옹고집의 그릇된 행태를 비판과 고발하는 방법으로 타자화를 단계적으로 강화하면서 옹고집의 정체성을 부정한 것이 그것이다. 더불어, 진옹과 가옹의 행위를 통해 대립적인 구도를 보이며 긴장과 흥미를 가미하여 서사 미학의 묘미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타자화 서사기법을 통해 작품의 형상화와 인물의 재창출에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find out the narrative value of otherization in Onggojipjeon. To that end, the background of otherization in Onggojipjeon is looked at first; the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ggojip’s ident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otherization is analysed; and finally,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narrative technique of typification is pointed out.
First, the background of otherization is looked step by step: i) cause, ii) process, and iii) result of otherization- The behavior of Onggojip, which appears in Onggojipjeon, acts as a cause of otherization; and Onggojip experiences the process of otherization by being excluded from the family and society. This otherization process can be regarded as a factor that can make Onggojip not being stubborn by denying the existing identity of him.
Seco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ggojip‘s identity is looked through otherization of him. Although the character's otherization appears in some other Pansori novels, Onggojipjeon deals with the process of other typesetting in detail. Accordingl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identity of Onggojip, who undergoes otherization, is looked in terms of establishing traditional ethics, establishing a correct economic view, and establishing an objective religious view.
Third,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in terms of the narrative method of otherization in Onggojipjeon is looked. The narrative method of otherization is useful for raising satire consciousness and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audience. It is a method of criticizing and accusing the wrong behavior of Onggojip, a vested interest, by gradually strengthening otherization, as well as denying Onggojip’s identity. In addition, conflict actions of Jinong and Gaong leads to increase in tension and interest, which results in accomplishing the beauty of narrative aesthetics. In addition, such a narrative method of otherization has meaning in representation of the work and re-creating the character.
목차
1. 서론
2. 타자화의 배경
3. 타자화의 체험과 정체성 확립
4. 타자화의 서사기법적 가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어문연구』 60년의 발전사
-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2)
-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