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Aspects of Change in Village Names in Yeongdong-gun(永同郡) Between the Early and Late 20th Century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성희제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4輯, 33~6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충청북도 영동군의 20세기 전기(1910년대)와 후기(1970년대 이후)의 지명 자료에 나타난 동리명의 변천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기자료 ‘지지’에는 지명에 19개의 의미영역이 있는데 이 중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의미영역은 동리명이고 한자지명은 물론 한글지명도 가장 많다. 동리명은 후기자료에서도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어서 동리명을 중심으로 전기와 후기의 변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전기와 후기의 영동지명 자료에서 압도적인 분포를 보이는 의미영역은 동리명, 골짜기명, 산명, 들명이다. 동리명에서 동일 지점의 지명으로서 전기와 후기를 대비했을 때 볼 수 있는 양상은 대체적으로 유지, 교체, 소실, 추가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의 큰 범위 안에서 지명은 전기에서 후기로 변화하고 있다. 변천의 구체적인 양상으로서 첫 번째는 한자지명이든 한글지명이든 그대로 유지된 지명이 가장 많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전기의 한자지명은 78.43%, 한글지명은 51.11%가 후기에 그대로 사용되었다. 두 번째는 교체 양상의 하나로서 전기의 한자지명 일부가 다른 한자로 교체된 예가 적지 않은데 일본식 약자체나 잘못된 한자를 후기에 가서 번자체로 고치거나 올바로 잡은 것들이 있다. 세 번째는 또 하나의 교체 양상으로서 마찰음 뒤의 상향이중모음이 후기에 가서 단모음화하는 예들이 있다. 네 번째는 지명접미사 ‘-이’가 없었는데 후기에 가서 지명접미사를 첨가하면서 움라우트로 교체하는 예들이 있다. 다섯 번째는 움라우트의 환경을 갖춘 동리명들임에도 불구하고 전기에는 움라우트가 전혀 보이지 않았는데 이들이 후기에 가서 움라우트화로 교체되었다. 여섯 번째는 동리명에서 어두의 치조음이나 연구개음이 후기에 가서 구개음화된 예들이 소수가 있는데, 이것은 20세기 후기까지 어두의 구개음화규칙이 남아 있었음을 반영한다. 일곱 번째는 한자지명의 일부나 전체가 소실된 경우로서 전기의 한자지명이 전체 또는 일부가 소실된 예, 복수지명 중 한글지명만 단수로 남은 예, 새 지명의 추가로 구 한자지명이 없어진 예들이다. 여덟 번째는 한글지명이 소실된 경우로서 한 지점에 대한 한자ㆍ한글 복수지명이 있었는데 후기에 가서 한글지명만 소실되어 단수의 한자지명만 남은 경우이고, 전기의 한글지명 일부가 후기에 가서 탈락되거나 축약된 예들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sider the aspect of changes in village names of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in the early 20th century (1910s) and late (after 1970s). In the data ‘Jiji’ of early 20th century, there are 19 semantic domains for place names. Among them, the semantic area showing the largest distribution is the name of the village, and the number of village names in Korean as well as in Chinese characters is the most. Since village names show the largest distribution in the data, the changes in the early and late period are considered with the village names as the center. The semantic domains showing the overwhelming distribution in the Yeongdong place names data in the early and late period are village names, valley names, mountain names, and field names. As the name of the same point in the village name, it can be seen that it appears in the form of maintenance, replacement, loss, and addition when contrastive for the early and late period. Within these four broad categories, village names are changing from early to late. As a specific aspect of the change, the first is the fact that most of the place names remained the same, whether in Chinese characters or Hangul. In the first half, 78.43% of place names in Chinese characters and 51.11% of place names in Hangul were used as they are in the late period. The second is one of the replacement aspects, and there are many examples in which some of the Chinese character names in the early period have been replaced with other Chinese characters. These are Japanese abbreviations or incorrect Chinese characters that were later corrected or corrected into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he third is another alternate aspect, and there are examples in which an rising diphthong after a fricative is converted to a short vowel in late period. Fourth, there is no place name suffix ‘-i’, but there are cases where the umlaut phenomenon occurred when the place name suffix was added in late period. Fifth, umlauts were not seen at all in early period,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the environment of umlauts. However, in the late period, they were umlauted. Sixth, there are a few examples of palatalization of alveolar or velar consonants in the village names, which reflects that palatalization rules in first syllable of a word remained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e seventh is a case in which part or all of the Chinese place name is lost. Examples of the case where all or part of the Chinese place name in the early period are lost, the case where only the Hangul place name remains singular among the plural place names, and the cases where the old Chinese place name is lost due to the addition of a new place name. The eighth case is the case where Korean place names were lost, and there were plural names in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but in the late period, only the Hangeul place names were lost, leaving only singular Chinese place names. The other case is that some of the early Hangeul place names were dropped or abbreviated in the late period.

목차

1. 머리말
2. 자료
3. 지명의 유지
4. 지명의 일부 교체
5. 지명의 소실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희제. (2022).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어문연구, (), 33-61

MLA

성희제.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어문연구, (2022): 3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