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185
- 영문명
- A Stud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Perception of Grammar Learning: Focused on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university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저자명
- 류선숙
- 간행물 정보
- 『어문연구』第114輯, 531~55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법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고에서 주목한 학습자들은 국내 대학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전공 및 교양 영역에서 학문을 수행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다. 정부 및 각 대학 기관의 유학생 확대 정책에 따라, 국내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증가 추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자리잡은 이들이 학문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라는 언어적 요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들이 대학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문적 맥락에서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글쓰기나 발표 등 특정 학문적 기능에 집중한 교육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재료인 언어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고급 수준에 이른 학습자들은 문법을 형식적 지식 학습으로 인식하거나, 이미 문법 능력은 어느 정도 보유했다고 간주되기 때문에 문법 학습에 대한 비중이 점차 경감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문법 학습을 정체할 경우, 문법 능력의 정체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학습자들이 부정확한 한국어를 양산하거나 학문적 과제를 원만하게 수행하는 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급 숙달도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라도 대학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에 기여하는 문법에 대한 지속적이고 연속적인 학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제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고급 이상의 숙달도를 획득한 후에도 문법 학습을 지속하고 있는지, 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대학의 학문 수행 과정에서 문법 능력이 얼마나 요구된다고 생각하는지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인식 조사는 국내 대학 중 외국인 유학생 규모가 상위 10위 안에 드는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다양한 국적과 전공의 학습자들이 인식 조사에 참여하게 되었다. 인식 조사 결과, 외국인 학부생들은 자신의 문법 능력이 낮다고 인식하였으며, 대학에 입학한 이후에도 여전히 한국어 문법 학습이 필요함을 절감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서 익히는 고급 수준의 문법과는 차별화되는, 즉 학문적 맥락에서 필요한 문법 항목들에 대한 요구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이와 같은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학습자들의 학문적 한국어 능력을 뒷받침하는 문법 교수가 반드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학 입학 전에 배웠던 일반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난이도 배열 순서에 따른 문법 항목 추출이 아니라, 대학에서 필요한 문법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별도의 문법 학습 시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학문적 과제를 수행할 때 문법에 지속적으로 주목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하고 유창한 한국어를 토대로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견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advanced Korean learners in university perceive Korean grammar. The learners this study focused on were the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studying in major subjects and liberal arts in earnest after their entrance into university. With the policy on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the government and university institution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domestic schools is on the constant rise. One of the difficulties that they, as a member of university, have in performing academic tasks is a linguistic factor, or Korean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perform tasks in academic context in school, they should not only receive the education concentrating on specific academic functions like writing or presentation, but learn linguistic knowledge as a material to perform such tasks. Unfortunately, learners in an advanced level of language perceive grammar learning as formal knowledge learning, or see themselves as those who reached a certain level of grammar skills. For this reason, the importance of grammar learning is on the reduction. Such stagnant grammar learning can lead to no improvement in grammar skills, which can cause these learners’ imprecise Korean language or impede their smooth performance of academic tasks. In order to perform a variety of academic tasks in university,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no matter how advanced their skill are, should continuously and continually learn the grammar that contributes to their linguistic proficiency and precision. Therefore, a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with foreign undergraduates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o continue to learn grammar after obtaining an advanced level, how they perceive the necessity of grammar learning, how much grammar competency is demanded in the academic task performance process in university, and so on.
A survey on their perception was conducted with th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op 10 universities in terms of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survey participants had a variety of nationalities and majored in diverse fields.
As a result, the foreign undergraduates perceived that their grammar abilities were low and became keenly aware of the necessity of Korean grammar learning even after their entrance into university. In addition, they had the demand of the grammar items needed in the academic context, which is different from an advanced level of grammar lear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general purposes.
More specifically, it is required to provide separate grammar learning hours on the basis of the grammar items needed in school, rather than the grammar items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general purposes before their entrance into univers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grammar at the time of performing academic tasks and thereby to complete their studies successfully on the basis of their precise and fluent Korean language.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reflect such perception and demand and to teach the grammar that supports their Korean language abilities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문법에 대한 인식 조사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초급 교재에 나타난 중국어 대조 번역 오류 연구
- 『어문연구』 60년의 발전사
- 한국어 조건 관계 연결어미와 태국어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克齋 魚允績(1847~1933)家 한글편지에 나타난 서간도 망명가족의 삶
-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 국어 ‘이다’와 중국어 ‘시(是)’의 대조 연구
- 사회적 맥락, 체면 위협 행위와 사과화행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이중주어문의 생략어 복원에 대한 연구
-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연구
- 지방자치 시대 충청지역 한문학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 <숙향전>의 근원설화 <숙향이굴> 전설
- <옹고집전>의 타자화 기법과 인물의 정체성 확립
- 비대면에서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 사례 연구
- 미디어 리터러시 확장을 위한 고전소설의 역할
- 오탁번의 「굴비」와 김동인의 「감자」에 나타난 주체 양상 연구
- 일본어의 한글 표기 및 그 운율의 리듬분석을 통한 새 교육 방안 연구 (2)
- 20세기 전후기 영동군(永同郡) 동리명(洞里名)의 변천 양상 고찰
- 해외 대학 한국어 전공 과정 내 국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류황후>의 비첩형(婢妾型) 인물 연구
- 소설 「큐티클」 속 청년 소비자의 의사결정과정 및 낙관주의 오류에 관한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대한 인식 연구
- 1970년대 소설의 여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